-
-
사람들 앞에 서면 나는 왜 작아질까 - 당당한 나를 위한 관계의 심리학
크리스토프 앙드레 & 파트릭 레제롱 지음, 유정애 옮김 / 민음인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다른 사람들 앞에서는 가슴이 두근거려서 발표를 잘 못하겠다’, ‘모르는 사람들 앞에서 말할 때는, 목소리가 떨려서 제대로 말을 할 수 없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낯선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사람이 많은 곳에서 식사를 할 때 긴장과 불안을 느끼는 사람도 많다.
관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하루에도 수십 번씩 사람들의 눈치를 살피며 진짜 자신을 보여주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평범한 학생, 직장인부터 유명 연예인과 정치인에 이르기까지 범위는 광대하다. 사람들이 진짜 두려워하는 것은 불안이나 긴장이 아니라 ‘실수하면 어쩌지, 실수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창피당할까 봐 두려워’라며 자신이 만들어낸 상상 속의 공포다.
이 책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정신과 전문의이자 심리치료사인 크리스토프 앙드레·파트릭 레제롱 두 저자가 관계 속에서 느끼는 불안의 현상과 원인, 당당하게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두 저자는 감정은 생각하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한다. 20년간의 상담을 바탕으로 누구나 일상에서 마주할 법한 공감 가는 사례와 타인을 병적으로 두려워하는 이들의 실례를 재치 있게 풀어나가며 불안의 실체에 접근한다.
나를 괴롭히는 불안의 정체는 무엇인가? 저자들은 ‘사회불안’을 네 가지 형태‘로 나눈다. 이들 가운데 무대공포증처럼 일시적 불안과 수줍음은 크게 문제 될 게 없다. 그런데 사회공포증이나 회피성 인격장애의 경우 일종의 정신질환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저자들은 “사회공포증과 회피성 인격장애는 정신장애의 하나로 질환”이라고 강조한다.
저자들은 “사회공포증은 존재를 마비시키는 진정한 정신질환으로, 매우 심각한 고통과 불편을 야기한다. 마찬가지로 회피성 인격 장애는 타인의 시선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는 특성이다.”라고 정의를 내린다.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심각하지 않더라도 타인과의 관계에서 불편함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참조할 만한 실용적 조언이 많다는 점이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일까. 문제는 인지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사람은 누구든지 어떤 자극을 받으면 생각을 떠올리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특정 자극을 받을 때면 이것저것 깊이 생각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어떤 생각을 떠올린다. 그래서 심리학자들은 이를 ‘인지’라고 부른다. 인지심리학자들은 자동적 생각들이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과 어떤 생각은 불안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내면의 두려움을 직시하고 두려운 상황에 자신을 반복적으로 노출하고 연습함으로써 극복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실용적인 심리학 서적이다. 무대 공포증과 사회 공포증을 비롯해 남의 눈을 의식하고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두려움 없는 관계를 맺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이 책은 사회공포증 환자들이 자주 보이는 생각의 유형과 전환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인지 치료는 행동 연습과 결합되어야 한다고 말하는데, 증세가 경미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자신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를 만나거나 발표를 할 때 지나치게 경직되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