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찾기 경제학 - 가장 이상적인 짝을 찾는 경제학적 해법
폴 오이어 지음, 홍지수 옮김 / 청림출판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텔레비전 짝찾기 프로그램이 선풍적 인기를 끌고, 온라인에서는 데이트 주선 사이트가 우후죽순 생겨난다. 결혼정보회사에 돈을 지급해서라도 훌륭한 짝을 만나고픈 싱글들, 혹은 그런 경제력이나 숫기조차도 갖추지 못한 싱글들에게 좋은 기회를 주지만 인생의 동반자를 만나는 일이 쉽지 않음을 말해주는 사례들이다.

 

이 책은 미국의 스탠퍼드경영대학원 교수로 촉망받는 경제학자 폴 오이어가 데이트 시장의 변화와 남녀의 사랑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인생의 동반자를 찾는 과정에 적용되는 경제학 원리를 파헤치고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에서 사람들의 행동이 어떻게 좌우되는지에 대해 미시경제학의 10가지 핵심 개념을 통해 알기 쉽게 알려준다. 이 핵심 개념들은 시장, 경제학, 데이트뿐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적용된다. 운동, 쇼핑, 영화관람 등에 경제학 개념을 적용해 삶의 효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온라인 데이트는 자신에게 맞는 상대를 찾고 데이트 신청을 하는데 드는 탐색 비용과 노력을 크게 낮춤으로써 남녀 간의 만남을 촉진한다. 이것을 경제학에서는 탐색 이론이라고 말한다.

 

주식이나 채권, 금과 같은 상품은 원하는 것을 그냥 사들이면 된다. 하지만 짝 찾기는 사정이 다르다. 사람마다 각양각색이기 때문에 모든 속성이 동일한 완벽한 대체재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 온라인 데이트는 짝 찾기에 따른 탐색 비용을 많이 줄여 준다. 온라인에서는 마음에 드는 상대를 발견하면 이메일을 보내 쉽게 데이트 신청을 할 수 있다. 거절당한다고 하더라도 개의치 않고 곧바로 다른 사람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면 그만이다. 하지만 오프라인에서는 마음에 드는 상대를 찾아 데이트 신청을 하고 직접 만나는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런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누군가에게 데이트 신청을 받게 되었을 때 그 말이 진심인지 진심이 아닌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가? 이럴 때 필요한 것은 신호개념이다.

 

저자는 한국의 한 결혼정보회사가 실시한 가상 장미 실험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든다. 이 회사는 회원들에게 마음에 드는 상대를 골라 최대 열 명까지 데이트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중 두 사람에게 가상의 장미를 보낼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되면 데이트 신청자는 누구에게 가상 장미를 보낼지 심사숙고하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짝을 찾아 헤매는 선남선녀들에게 조언하기를 님을 봐야 뽕도 딴다고 한다. 이는 자신이 직접 선택한 방식으로, 그는 여러 개의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를 이용했고, 가급적 이용자가 많은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했으며,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유형의 여성들과 첫 만남을 가졌다.

 

이 책은 세상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있는 그대로 설명해 줄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더 행복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데 경제학을 이용하고 있다. 이 책은 경제학을 공부하는 분들은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