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짱으로 삽시다 - 30주년 기념 개정판 이시형 뒤집어 생각하기 1
이시형 지음 / 풀잎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이유는 아무래도 제목에서 오는 매력 때문이었다. 평소에 나는 매사에 자신감이 없이 너무 소심하게 모든 일을 한다. 다른 사람들이 지켜보는 앞에선 그만 잘하던 일도 못하고 벌벌 떨고, 좌석에선 잘 떠들다가도 막상 연단에 서면 그만 말문이 막힌다. 좀 배짱이 있어야 하는데 너무 배짱이 없었다. 그러기 때문에 이 책을 읽으면 나도 배짱 있게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 이 책을 펼치게 되었다.

 

이 책은 정신과 전문의 이시형 박사가 쓴 것이다. 배짱을, 세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소신이 동반된 행동으로 보고 이를 긍정적으로 풀어내 1982년 당시 대단한 베스트셀러가 됐다. 지금도 꾸준히 읽히는 것을 보면 배짱은 역시 누구나 갖추고 싶은 필수 인성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선천적 강심장을 빼고는 배짱을 갖추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닌가 보다. 대부분 사람들이 두둑한 배짱을 동경하니 말이다.

 

배짱이란 긍정과 부정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래도 긍정적인 면이 더 많은 것 같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척이나 체면을 존중한다. 그로 인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배짱이 약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우리나라 사람은 서양 사람들과 달리 춥고 배고픈 백성이기 때문에 체면을 중시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체면이란 자기 얼굴을 내세우는 일이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타율의식이지 자율성의 발로는 아니다. 체면이란 남의 눈을 의식해서 나를 숨기는 일이며, 배고파도 아닌 척, 추워도 더운 척하고 나를 숨겨야 하는 게 체면의 강제성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또한 체면 때문에 우리는 겉다르고 속다르다. 표리부동이다. 어디까지가 사실이며 어디까지가 진짜 마음인지 알 수가 없다. 솔직하지 못한 것도 표리부동이란 마음의 이중구조에서 비롯된다. 누가 보든 앞에서 자기 진심을 숨겨야 하는 게 우리나라 사람이다. 그리고 우리는 법을 지켜도 남의 눈 때문에 지킨다. 물론 요즘엔 체면 없는 무리들로 인해 무척 속상한 일들이 많아져가고 있다. 공공의식에 약한 우리 사회가 체면이란 것 때문에 이만큼의 질서가 유지돼 왔는데 말이다.

 

저자는 체면은 있어야 하고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것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여 일상행동에 지장을 초래한다면 문제가 된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저자는 체면의식이 지나쳐서 전전긍긍하는 한국인에게 명예란 걸 생각해보길 권하고 싶다고 한다.

 

현대사회는 바쁘다. 나의 실수담을 오래 간직하고 기억해 줄 친절한 사람은 없다.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을 만나야 하는 게 현대사회의 인간관계다. 숨긴다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솔직해질 수밖에 없다. 그래야 사람을 만날 배짱이 생기게 된다.

 

저자는 마음의 허식을 벗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매사에 주저된다. 누굴 만나도 떳떳하질 못하다. 움츠러진 어깨가 펴지질 않는 것이다. 허식을 벗어야 참된 내가 된다. 개성적인 인간이 되는 길은 솔직하게 되는 게 먼저다.”(p.49)라고 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 민족은 너무 체면을 존중하다 보니 실제 아무런 유익이 없는 겉치레에 얽매여 있으므로 과감하게 체면을 벗어던져야 된다는 것과 너무 소심하게 생각하지 말고 무엇이든지 배짱을 가지고 해야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