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조건 - 제니퍼소프트, SAS, 그리고 우리가 꿈꾸는 리더들
박상욱 외 지음, SBS 스페셜 제작팀 엮음 / 북하우스 / 2013년 11월
평점 :
최근 한 포털사이트에 빅맨의 뜻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온 것을 봤다. ‘빅맨은 조직 내에서 뛰어난 능력을 지닌 사람을 말한다.’고 했다. 또한 집단 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리더를 의미하기도 한다. 남태평양 멜라네시아에서 빅맨은 민주주의 도입 전의 정치 지도자를 일컫는 말로 물물교환과 전쟁, 축제 등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보여 집단의 우두머리가 된 사람을 뜻한다고 한다.
빅맨의 뜻을 접한 네티즌들은 “빅맨의 뜻, 우리에게 진정한 리더는 누구일까”, “빅맨의 뜻, 우리도 현명한 빅맨이 필요하다”, “빅맨의 뜻, 여자는 빅 우먼이야?”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 책은 올해 초 방송되어 큰 화제가 된 SBS 스페셜 <리더의 조건>에서 리더들이 던진 질문의 궤적을 따라가 그들의 남다른 선택과 실천, 그리고 그로 인해 달라진 구성원들 삶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책에서는 방송에서 간략하게 소개되고 넘어간 6명의 리더들의 ‘철학’에 특히 주목하여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삶의 좌표를 다시 세울 수 있도록 이끈다.
“제가 제니퍼 소프트에 오게 된 이유는 인간다운 삶, 일과 가정이 조화로운 삶을 원해서였어요. 만약 돈을 더 벌기를 원한다면 일을 더 하거나, 연봉이 높은 대기업에 가면 되겠죠. 그렇지만 그건 제가 원하는 삶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 이곳에서 일하는 게 만족스럽고 행복합니다.”
이 책에서 ‘제니퍼소프트 직원’은 말하기를 “직원들의 생각이 이런데도 대다수 CEO들은 예전의 낡은 방식으로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통제하고 윽박지르는 환경 속에서는 창의적인 생각이 나오기 어렵다. 이런 통제의 문화에서 비롯된 창의력의 부재가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거라는 해외 전문가들의 진단이 매번 나오지만 달라질 기미는 없고, 그래서 한국 직장인들은 매일 출근길이 참 불행하다.”고 했다.
제니퍼소프트의 경영 철학은 나에게 매우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회사에서 누리는 것들이 많은 만큼 구성원들은 그것을 계속 누리기 위해서는 회사가 잘 돼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으므로 자발적으로 열심히 일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제니퍼소트프에는 각자가 해야 할 일이 명확하기 때문에 누군가가 일을 하지 않고 게으름을 피우면 그 부분이 금세 표시가 난다고 한다. 제니퍼소프트 구성원들이 누리는 자율에는 막중한 책임이 따랐다.
회사를 이끌어 가는데 중요한 것은 구성원들이다. 기업은 리더 혼자만의 생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리더 보다도 구성원들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제니퍼소프트 이원영 대표는 “리더는 구성원들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이다. 구성원들이 공동의 뜻을 세우고 각자 맡은 일을 잘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고, 그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사람이 바로 리더라고 생각 한다”고 했다. 이 책은 구성원들을 이끄는 리더의 자리를 꿈꾸는 사람들이 읽어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