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함께 만드는 행복 사다리
신진우 지음 / 행복에너지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결혼생활에서 권태기는 어느 부부에게나 찾아오는 홍역 같은 것이다. 홍역은 예방접종만 하면 가볍게 넘어갈 수 있는 열병이다. 결혼생활도 이와 같다. 불청객인 권태기를 무탈하게 넘기기 위해선 슬기로운 지혜와 노력이 필요하다.

 

부부간에 대화가 끊긴채 며칠씩 지내기 시작하면 위기는 시작된다. 잠자리를 멀리하는 것도 위기의 신호라 할 수 있다. 행복한 부부와 불행한 부부의 차이점은 대화다. 모든 인간관계가 대화에서 시작되듯이 부부간의 행, 불행도 대화에서 결정된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대화가 끊긴 부부는 부부라 할 수 없다. 룸메이트일 뿐이다.

 

가금 우리는 저희는 지금껏 한 번도 싸우지 않고 살았어요라고 말하는 부부를 보게 된다. 하지만 이는 거짓말이다. 한 사람이 완전히 다른 삶을 살아온 누군가와 만나 평생 살을 비비고 얼굴을 맞대고 살아가는데, 어떻게 다툼이 없을 수 있겠는가.

 

한 번 맺은 인연이 행복한 삶으로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서로 여러 가지 노력을 해야 한다. 행복한 부부생활은 상대가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노력하여 만드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 책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국립현충원장을 역임한 신진우 박사가 너무나도 당연히 일어날 수밖에 없는 부부간의 다툼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부부싸움 후 어떠한 방식으로 화해의 실마리를 풀어가야 하는가에 대해 알려준다.

 

저자는 부부가 행복이라는 열매를 함께 따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노력을 사다리의 가로막대에 비유하여 생각하였고 책의 제목을 부부가 함께 만드는 행복 사다라라고 이름 붙였다.“(p.6)고 했다.

 

삶에는 세 가지 선택이 있다고 한다. 세 가지 선택이란 가치관, 직업, 배우자를 말한다. 그중에서도 배우자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주변의 부부들을 보면 원만한 가정을 이루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부부보다 갈등을 겪으며 불편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더 많이 보게 된다. 나는 왜 그럴까 하고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이 책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결혼생활에 비법은 없다. 사소한 일로 섭섭함과 미움을 쌓지 말고 배려와 양보, 이해로 상대를 보듬어야 한다. 하나를 얻기 위해서 아홉을 내줄 수도 있다. 당장은 손해 본 것 같지만 언젠가 아홉은 열이 되어 돌아온다.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라는 지혜가 필요하다.

 

행복한 부부들은 미운 정 고운 정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50대 이후 부부는 정으로 살게 된다. 사랑이 뜨거울 때 정을 쌓아야 한다. 재산도 있을 때 지키는 것처럼 정도 쌓을 수 있을 때 쌓아야 한다. 정이란 것은 그리 대단한 것이 아니다. 아팠을 때 이마를 짚어주거나 아침 출근할 때 옷깃을 여며주는 것, 이런 것이 정이다.

 

이 책은 부부생활에 일어날 수 있는 갈등과 다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부부생활 지침서로서 기혼 부부와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