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한부 3개월은 거짓말 - 암 전문의사의 고백
곤도 마코토 지음, 박은희 옮김 / 영림카디널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세상에는 ‘암을 방치하면 점점 더 커져서 전신으로 전이되고, 심각한 통증에 신음하다 죽음에 이른다.’는 고정관념이 심각하게 퍼져있다. 그래서 암 진단을 받으면 대다수 사람들은 ‘얼마나 더 살 수 있을까’에 정신을 빼앗겨 ‘어떤 상태로 살지’에 대해서는 신경을 쓰지 못한다.
사람들은 의사로부터 “암입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누구나 정신이 까마득해진다. 그러다 정신을 차려 “잘못된 진단일 거야” 하며 사실 자체를 부정하고 분노한다. “왜 하필 나에게 이런 일이 생긴 거야!”, “내가 무슨 큰 잘못을 했다고~”, “하나님도 너무해~”라며 하늘을 향해 원망을 늘어놓는다. 그다음에는 ‘이번만 잘 넘어가게 해주면 앞으로는 제대로 잘 살겠다’며 절대자와의 타협을 시도하고, 그것도 안 되겠다 싶으면 자신이 암에 걸렸다는 사실에 우울해져서 고통스러워하다 급기야 자살 충동을 느끼거나 드물게는 실제로 그런 시도를 한다. 그 단계를 넘어서면 자신이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이 책은 30여 년 동안 일본 게이오대학병원 방사선과에서 암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곤도 마코토 박사가 병원 의사들이 흔히 시행하는 암 치료법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의료는 종교나 교육과 마찬가지로 공포산업이며 불안산업이라면서 의사들의 ‘시한부 3개월’ 선고도 환자를 겁에 질리게 해 자신들이 의도하는 치료로 몰아가기 위한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되도록 수술을 자제하고 항암제 치료를 최소화해 환자의 삶의 질을 살려가며 수명을 연장하는 식으로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암’이라는 병은 노화현상의 하나이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얼마나 오래 사느냐보다는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이른바 암 환자의 웰빙과 웰다잉에 환자 자신이 관심을 갖는 것은 물론 암 치료의 방식이나 절차도 거기에 맞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암에 걸리면 아무런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저 세상이 무너질 것 같은 기분이 들고 마음이 바빠지면서 무언가 빨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강박에 휩싸인다. 그래서 대부분의 암환자들은 암에 대해 알아보지도 않고, 암을 어떻게 극복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인지 개념도 잡지 못한 채 그저 병원과 주변 사람들이 권하는 대로 무조건 병원 치료를 하기 쉽다. 문제는 이러한 태도가 암 극복을 힘들게 하고 암과 동행하는 시간을 아주 고통스럽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다.
내가 아는 어느 분은 어느 날 우연히 암종양이 발견되어 수술을 하자는 의사의 권유에 암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했고, 뒤이어 24회의 고강도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하지만 암종양은 폐로 전이됐고, 이듬해 모든 림프절과 다른 장기로 다발성 전이가 되어 말기암 상태에 이르고 말았다.
저자는 “암은 그 자체로 독소를 내보내거나 통증을 일으키는 병이 아니다. 암이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중요한 응어리가 커져서 장기나 기관을 막아 호흡 등 생명활동에 지장이 생겼을 때이다.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없다면 무리한 치료가 오히려 생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어떻게 하면 암환자가 가장 고통 없이 오래 살 수 있는지,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암환자는 물론 가족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므로 꼭 읽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