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의적 글쓰기 - 일주일 반복 사용설명서
서미현 지음 / 대림북스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많은 책을 읽을 때마다 나도 한권의 책을 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할 수만 있으면 글쓰기 관련 책을 읽었지만 여전히 실천을 못하고 있다. 100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다는 말이 있다. 글쓰기에서는 100번 보는 것보다 한 번 쓰는 것이 낫다. 아무리 글쓰기 이론서를 들여다본다고 해도 막상 실제로 글을 쓰려고 하면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만큼 글쓰기는 실전이 중요한 분야이다.
이 책은 광고대행사 카피라이터로 일하며, 항상 말을 다듬고 글을 다루는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한양여자대학, 숙명여자대학교,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창의적 글쓰기>로 강의 하고 있는 저자 서미현이 이제까지 놓고 있었던 감성을 되살려 글쓰기를 시작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 책을 읽어보면 약간 딱딱할 것만 같은 책 표지와 달리 글이 쉽고 부드러워 누구나 손에 잡기만 하면 놓지 못하고 책장이 잘 넘어간다. 아마도 저자는 글을 쓰는 전문 카피라이터이기 때문에 이렇게 맛깔나면서도 재미있게 쓸 수 있었으리라고 짐작된다. 글쓰기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의 책이 어려운 단어만 잔뜩 늘어놔서 아예 책 읽기를 포기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그런 책들과는 비교가 안 되리 만큼 재미있게 읽힌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일주일 동안 반복적으로 글을 써보도록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처음부터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없다. 쓰면 쓸수록 느는 것이 글쓰기다. 그러나 쉽게 포기한다. 글쓰기에 실패했다고 그만 두지 말고 다시 시작하면 된다.
창의적 글쓰기는 어떤 것일까? 저자는 “‘창의성’, ‘창의적’이란 말이 갖는 어감 때문에 요란하거나 번뜩이는 것이 ‘창의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창의적 글쓰기란 내재되어 있던 ‘창조적 능력을 발현하는 글로 옮기는 과정’ 정도라고 생각하라고 이야기하고 싶다.”(p.39)라고 말했다.
월, 화, 수, 목, 금, 토, 일, 1년은 월 화 수 목 금 토 일의 반복이다. 천지를 다 만들었다는 일주일의 시간을 반복하다 보면 어느새 우리들의 글쓰기는 재미있어 질 것이다. 그렇게 일주일씩 1년을 반복해서 하다보면 지루하지 않게 창조적인 글쓰기를 해내는 최고의 방법이 될 것이다. 책의 꼭지마다 <오늘의 연습>문제를 통해서 자신이 직접 글을 써볼 수 있도록 했다.
책 하나만으로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아볼 수 있고, 낯선 사람과 만나게 되는 경이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