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글만리 3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3년 7월
평점 :
그 누구도 중국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어떤 면에서 겉과 속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중국에서 사업에 성공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사회주의의 나라 중국에서 그들 나름의 자본주의를 이해하면서 꽌시와 몐쯔를 중시하는 그들의 사회풍조에 걸맞게 행동하면서 성공하는 우리 한국인들을 다른 나라 사람들이 보기엔 그야말로 슈퍼맨일수도 있다.
2권에 이어 회사 일을 그만둔 전대광과 남근의 작은아버지의 결합을 보며 오랫동안 어떤 일을 해 온 사람만이 느끼고 행할 수 있는 직감에 놀란다. 아마도 그것은 다른데 눈을 돌리지 않은 성실성 하나로 귀결되지 않을까 싶다. 아무리 짝퉁사업을 했어도 괄시당하는 놈이 아니라 어르신인 이유. 다른 국가의 주재원들과 달리 한국주재원들이 더 치열하고 따뜻하게 그들에게 다가가는 이유는 그야말로 ‘진심과 사랑’이다.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등 넓은 중국 시장을 향한 우리의 라이벌들 또한 중국을 이해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연결시켜나가는 모습에 조금은 불안하기도 했다.
대기업 주재원으로 ‘직장’을 다니던 전대광이 하사장의 조언에 따라 ‘직업’을 찾기 위해 명퇴를 하고 중국이란 넓은 시장에 뛰어드는 모습과 그 조카 송재형이 중국인 여자와 사랑을 하고 결실을 맺기 위해 장인 장모 되실 분께 큰 절을 하는 마지막 모습은 중국에 거의 동화되어 그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인 모습이어서 무척 인상적이었다.
수주 사고로 인해 시안으로 좌천된 김현곤은 전대광의 갑작스러운 연락을 받고 공항으로 마중 나가고, 상하이에 들어설 초대형 종합병원의 철강 납품을 의뢰받는다. 중국 정부의 서부 대개발 바람을 타고 골드 그룹도 시안에 진출하면서 건축 총괄사장인 앤디 박이 김현곤을 찾는다.
프랑스 명품 회사 이사인 자크 카방은 광저우의 큰손 리완싱에게 가공한 옥과 보석을 납품받는다. 그는 중국인들의 뛰어난 수공예 기술과 싼 인건비를 이용해 유럽시장에 명품 액세서리와 장식품을 공급하고, 이는 프랑스 본사에 제2의 전성기를 만들어준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관계가 계속 돈독해지는 현재 상황에서 동북공정이란 말도 안되는 역사왜곡으로 우리를 힘들게 하는 지금 그들의 주장은 여러 측면에서 우리 고구려가 한반도로 전승된 나라임을 증명할 수 있기에 크게 신경 쓸 일은 아니지만, 그들의 주장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