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속사정 - 알고 보면 지금과 비슷한
권우현 지음 / 원고지와만년필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조선왕조 500년 동안 구중궁궐 깊은 곳에서는 크고 작은 사건들이 비일비재했지만 백성들에게는 거의 비밀로 붙여졌었다. 그러나 요즈음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가 안방극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내가 그동안 재미있게 봤던 조선시대 드라마는 허준, 대장금, 이산, 여인천하, 왕의여자, 대왕세종, 추노, 명성황후, 장희빈, 불멸의 이순신, 동이, 천명, 구가의 서, 장옥정 등이다. 조선의 배경, 인물, 환경 등 그 시대를 돌아보면 우리시대를 살아가는데 큰 깨달음과 깊은 진리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역사’는 거창한 것만도 아니고 굳이 멀리서 찾을 것도 없다. 깨진 기왓장 하나에도 수백 년 세월이 흐르고, 외딴집 문설주 하나에도 오만 사연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역사 특히 생활사에 관심을 두어 공부했고 그것을 모두와 함께 나누기 위해 이글루스에서 블로그를 시작하여 이글루스 TOP100이 생긴 이후로 6년 연속 100대 블로그에 들고 있는 저자 권우현이 우리가 알지 못했던 조선 시대의 뒷담화를 통해 암기의 역사가 아닌 살아 숨 쉬는 역사를 보여준다.
역사란 과연 무엇일까? 역사는 다시 쓰는 현대사라고 말한다. 또한 승자의 기록이라고도 하고, 역사는 해석하는 자의 입맛에 따라 그 의미와 평가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런 역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역사가 뭐 가전제품도 아니고, 굳이 설명서까지 읽으면서 알아야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사람마다 그것을 제대로 이용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또 악용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역사에서 여러 가지 교훈을 배울 수가 있다. 그것들 중에서 원하는 것을 골라서 선택하기도 한다.
이 책은 조선 왕조 역사를 살피는 것이 아니라 생활사를 중심으로 조선 시대를 살았던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당시 사람들의 삶과 일상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조선의 사회, 조선의 경제, 조선의 국방, 조선의 정치 등 사회전반에 걸쳐 우리가 알지 못했던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해주고 있다.
조선시대에도 만우절이 있었다. 조선에서는 첫눈이 오면 눈을 담아 상대를 속여 누가 술을 쏘나 장난을 했다. 또한 과거시험에서 부정행위의 방식을 보면 과거 시험장인 성균관 반수당에 대나무통을 연결하여 통속에 노끈을 넣은 다음 멀리서 뺄 수 있도록 하고 과거 시험장에서 시험문제를 적어 넣으면 밖에서 끈을 당겨 빼내 답을 작성, 다시 시험장 안으로 보내는 방식이 발각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도 출산휴가, 담배논쟁, 도박단속, 학력위조, 병역비리, 권력투쟁 등이 있었다는 사실을 볼 때 우리가 사는 현대 사람들의 생활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 책을 통해서 조선시대에 있엇던 일들이 지금 우리 시대에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은 사람 사는 세상은 다 똑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