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가 만날 미래 -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정지훈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종 범죄가 만연하고 사람이 사람을 적대시하는 세상을 살아가다 보니 개인주의적인 삶의 지향은 이미 자연스러운 모습이 되어 버렸다. 세상이 점점 강하고 독한 것을 선호하게 되면서 경쟁에서 뒤처지면 모든 것이 끝나는 것처럼 좌절하고, 먼저 강하게 나가지 않으면 자신을 우습게 볼 것이고 그러면 나만 손해를 본다는 강박감에 늘 긴장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일까, 예전에 비해 사회와 학교 그리고 가정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하지만 부모 입장에서 볼 때 각박하고 이기적인 세상에서, 1등만이 인정받는 사회에서 과연 친절하고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운다는 것이 가능할까?

 

무서운 속도로 세상은 변하고 있고 내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빠른 속도로 달려온다. 그들이 맞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지금 학원을 전전하고 있는 내 아이는 다가올 미래를 제대로 준비하고 있는 것일까? 변화의 물결에 올라탈 인재인가? 아니면 휩쓸려 떠내려갈 과거형 아이인가?

 

이 책은 대한민국 미래 비전 전략가 중 손꼽히는 1인자이자 각종 언론으로부터 미래 지식인으로 주목받는 정지훈 교수가 부기관과 수많은 기업체에서 미래 트렌드와 전략에 대해 자문해오며 교육이야말로 가장 미래지향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아이들을 위해 기성세대가 교육법을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의 교육 시스템은 너무 오랫동안 그대로 정체돼 있다. 학교에서 선생님의 수업이 끝나면 나머지는 전적으로 개인에게 맡겨진다. 보통 어릴 때는 엄마에게 맡겨진다고 봐야 하겠지만 말이다. 어쨌든, 그리고 나면 1년에 몇번 시험을 본다. 그리고 점수가 나온다. 그렇다고 해서 그 점수와 향후 학습 커리큘럼은 전혀 상관이 없다. 스마트폰으로 몇 번 검색만 하면 알 수 있는 정보를 외우는 식으로 시험을 치르는 게 과연 합당한 것일까? 그리고 지금 의사, 검사가 잘 나간다고 해서 아이의 꿈을 그쪽으로 몰아가도 되는 것일까?

 

21세기 특징 중 하나는 우리 인간들이 기계와 대화하며 상호작용하는 시간이 더 많아진 반면, 사람들 속에서 지내는 시간은 적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흔히 경제학자들이 일컫는 기술혁신으로 인한 실업이 지금 우리 주위를 맴돌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기술적 혁신, 기계자동화로 우리의 직장을 위협하는 선두에는 로봇이 있다. 물론 신기술이 탄생하며 새로운 직업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미래 기술이 어떻게 진화해나갈지 우리도 알아야 한다.

 

저자는 생산성을 높이는 쪽으로 성장하던 자본주의의 시대는 끝나고 앞으로는 점점 생산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 쪽으로 경제 정책이 자리잡아갈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 때문에 창의성이 필요하다.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 저자는 3가지를 강조하는데 몸으로 노는 것, 친구들과의 소통, 게임이다. 저자는 게임과 스마트폰을 무조건 차단할 필요가 없으며, 게임을 활용한 교육법이 자리 잡아야 한다고 말한다.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닌, 지식을 어떻게 융합해서 활용하는 지가 중요한 세상이 열렸다는 것이다.

 

이 책에 내 아이, 우리 아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이 모두 있다. 미래에 대해 보다 나은 비전과 대안을 찾고, 탐색하고, 실천하는 모든 분들이 꼭 읽었으면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