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대 권력의 종말 - 디지털 시대에 다윗은 어떻게 새로운 골리앗이 되는가
니코 멜레 지음, 이은경 외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세계는 변하고 있다. 단지 한 국가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동시 다발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튀니지에서 일어난 재스민 혁명을 시작으로 이집트와 리비아도 독재자들이 몰락했고, 우리는 그곳에서 거대한 민중의 힘을 볼 수 있었다.
전 세계에서 몰락한 이들을 살펴보면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들은 모두 사랑과 용서 그리고 관용이 결핍된 사람들이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무자비한 철권통치로 국민들을 통제했고 그 결과 참다못한 국민들의 반발에 부딪쳐 무너지는 사태를 맞이했다.
이 책은 세계적인 IT 미래학자 니코 멜레 하버드케네디스쿨 교수가 디지털 시대 권력의 속성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고찰한 사회 비평서다. 저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기술 진보가 가져올 ‘기회와 위협의 패럭독스’를 풍부한 사례와 함께 제시한다.
디지털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급진적 연결성’을 꼽을 수 있다. 즉 방대한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끊임없이 전 세계 어디로든 보낼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맹위를 떨치는 기술의 진보가 전통적인 거대 권력을 흔들고 기존 체제를 무너뜨린다.
스마트폰과 인터넷 같은 신기술이 가져온 급진적 연결성은 정부와 기업, 언론 등 전통적인 권력 구조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작은 다수가 지배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기존 권력 붕괴가 불러올 수 있는 부작용들을 짚어봤다.
오늘의 첨단 기술이야말로 디지털 시대의 ‘다윗’에게 비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이 새로운 ‘골리앗’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저자는 혁신적 기술로 인해 소중한 가치가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어떤 기술도 거대 권력을 붕괴시키는 과정에서 법치, 자유 시장, 언론, 종교의 가치를 무력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좀 더 편하기 위해 기술을 개발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기술이 사람을 지배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나아가 기술이 문화적 체계에서 핵심 역할을 감당하는 단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문화평론가 닐 포스트만이 저서 ‘테크노폴리’에서 했던 경고는 새겨들을 만하다. “문화는 기술의 승인을 추구하고, 기술에서 만족을 얻으며, 기술의 지시를 따른다.”
거대 권력의 종말은 이를 실천하려는 노력이 전제되기만 하면 거대한 기회가 될 수 있다. 결국 멜레 교수는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만들어내는 사회 변화에 밝음과 어둠이 동시에 존재함을 명심하고, 거대 권력의 종말을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기회로 삼으라고 당부한다.
이 책은 단순히 디지털 혁명이 가져오는 명암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 우리 스스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전 세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디지털 혁명들과 그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뛰어난 통찰을 보여주는 이 책은 인간의 가치와 사회구조, 자유를 지킬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