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경제학계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불확실성의 시대’라는 말이 최근 우리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것 같다. 그만큼 세상이 불안하고 변하기 쉬우며 확신이 없는 변덕스러운 사회로 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때에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가?
이 책은 <책은 도끼다>의 저자이자 광고인 박웅현이 인생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여덟 가지 단어를 말한다. 저자는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한번쯤 마주쳤을 여덟 가지 가치에 대해 자신의 경험과 만난 사람들, 그리고 책과 그림, 음악 등을 예로 들며 함께 생각해보기를 권하고 있다.
저자는 인문학에 대한 강의를 하면서 책 이야기와 더불어 삶에 대한 태도와 방향을 말해왔는데 그것은 책을 읽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좀더 올바른 시각으로 삶을 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왜 삶의 기준을 내 안에 두어야 하는지, 고전 작품을 왜 궁금해 해야 하는지, 동의되지 않는 권위에 굴복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현재의 행복을 유보시키지 않고 지금의 순간을 충실히 살아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썼다.
이 책의 제목이 특이하다. <여덟 단어>라고 했다. 저자가 말하는 여덟 개의 키워드는 자존, 본질, 고전, 견(見), 현재, 권위, 소통, 인생 등이다. “인생은 책처럼 주어진 걸 읽어나가는 게 아니라, 공책처럼 써내려가는 것”이라는 데에서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존’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자존’이란 스스로를 존중하는 마음이다. 나를 존중히 여기는 마음이 있으면 어떤 상황에 처해도 행복할 수 있다. 그러나 자존감을 가지는데 가장 방해가 되는 요인은 교육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에 대해서 “우리 교육은 과연 어떤가요? 내 안에 있는 걸 존중하게 해주는 교육이었을까요? 그렇지 않죠. 우리는 늘 우리에게 없는 것에 대해 지적 받고 그것을 가져야 한다고 교육 받아왔어요. 칭찬은 자존감을 키워주는데, 가진 것에 대한 칭찬이 아닌 갖지 못한 것에 대한 질타는 눈치를 자라게 합니다. 중심점을 바깥에 놓고 눈치 보며 바깥을 살핍니다. 자존은 중심점을 안에 찍고 그것을 향해 나아가는 겁니다.”(p.27)라고 말했다.
이 책에서 저자는 현재에 집중하라고 말한다. 맹자에 보면 “萬物 皆備於我矣 反身而誠 樂莫大焉 만물 개비어아의 반신이성 낙막대언”이라고 했다. 만물이 모두 나를 위해 준비되어 있으니 돌아보고 최선을 다하면 즐거움이 크다.
저자는 “불혹은 그 만혹의 시기로부터 꼭 10년 후에 찾아왔습니다. 제 나이 오십에 드디어 불혹을 맞은 것이죠. 저는 이제 크게 흔들리지 않습니다. 제 인생을 인정하고 긍정하기 시작했어요. 단, 여기서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은 다른 삶의 부정이 아닙니다. 그들의 삶의 긍정과 내 삶의 긍정을 의미합니다.”하면서 “비로소 나의 현재에 대한 존중이 생긴 겁니다.”(p.140)라고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살면서 정답을 찾고 있지만 인생에 정답은 없다. 모든 선택에는 정답과 오답이 공존한다. 지혜로운 사람들은 선택한 다음에 그걸 정답으로 만들어내는 것이고, 어리석은 사람들은 그걸 선택하고 후회하면서 오답으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