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의 가장 깊숙한 곳 - 30년간 임사체험과 영적 경험을 파혜친 뇌과학자의 대담한 기록
케빈 넬슨 지음, 전대호 옮김 / 해나무 / 2013년 3월
평점 :
20세기 후반에 들어 종교 체험 가운데 명상 체험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뇌 영상 촬영 기술이 급격한 속도로 발전을 이루면서 뇌과학 혹은 신경과학 분야에서 명상 체험을 하는 인간의 뇌에 대한 구체적이고 신경생리학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간의 신비한 정신 현상 중에서 특히 두드러져 보이는 것이 종교적 신비체험과 임사체험이 아닐까 싶다.
종교의 창시자들이나 성인들, 그리고 유명한 종교 지도자들에게서는 그들이 경험한 종교적 신비체험이 늘 따라다닌다. 그것이 그들에게는 하늘로부터 권위를 받은 것으로 암시되기도 한다. 오랜 침묵이나 기도, 또는 은둔과 고행을 통한 감각의 제어에서 그런 체험은 순간적으로 강력하게 찾아오는 것 같이 보인다. 이런 신비체험에서는 주로 빛과 소리를 통해 메시지가 전달된다.
이 책은 미국 켄터키 대학교 신경과 교수로 30년 넘게 임사체험과 영적 경험을 탐구한 세계적인 신경학자인 저자 케빈 넬슨이 임사 체험이나 영적 경험을 할 때 뇌가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한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다양한 사례 연구, 뇌 스캔 분석, 진화생물학을 넘나들며 의식, 무의식, 꿈의 접경지역을 탐색한다. 주로 뇌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뇌간과 대뇌피질 가운데 가장 오래된 영역인 변연계를 주목한다. 이 둘이 어떻게 함께 작용해서 영적 경험을 만들어내는지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이 책은 생명에 위협을 느꼈을 때 전면에 나서는 뇌 부위의 복잡 미묘한 작동 방식을 탐색하면서 인간의 뇌에 내재한 영적 충동과 생명 유지를 가장 중요시하는 뇌의 맨얼굴을 엿보게 한다. 그러나 저자는 원시적인 뇌간과 변연계가 영적 경험의 유일하고도 최종적인 출처라고 믿지 않는다며 서문에서 밝히기를 “영성과 뇌를 다루는 분야는 이제 막 생겨나는 중이다. 우리 각자는 자신의 힘으로 영적인 의미와 가치를 발견해야 한다. 이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며 또한 가장 큰 기회 중 하나다. 궁극적으로, 영성의 신경학적 토대를 이해하는 과정은 인간성의 현재적인 의미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저자는 객관적이거나 주관적인 생명의 위기 상황에서 뇌가 보이는 반응은 임사체험이나 신체이탈, 신비 경험을 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황홀경 간질, 공황장애, 기면병, 수면장애, 가위눌림까지 다양한 뇌의 작용을 살펴봤다. 동떨어진 듯한 소재를 뇌간과 변연계라는 뇌 부위의 작용으로 묶어서 설명한다.
‘임사체험’이란 전문가로부터 확실한 사망 진단을 받았다가 다시 살아난 사람의 경험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갑작스런 심장마비, 뇌손상, 사고로 인한 과다출혈 등으로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었던 경험의 소유자들이 많다. 이 과정에서 임사체험을 경험한 사람들은 자신의 영혼이 몸에서 이탈해 시공을 초월한 공간에서의 깊은 인식을 증언한다.
이 책은 예리한 관찰력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유체이탈 체험과 임사 체험을 설득력 있게 그리고 진지하게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 읽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