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자가를 바라보라 - 나를 빚으신 주님이 내게 바라시는 것
켄 가이어 지음, 최요한 옮김 / 아드폰테스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십자가는 기독교의 상징인 동시에 기독교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십자가는 희생을 나타내며 아무 죄 없이 죄의 누명을 쓰고 이유 없이 고난을 받는 것이 십자가이다. 예수님이 짊어지셨던 것처럼 내가 남의 허물을 대신 짊어지고 축복의 길임을 믿고 가는 것이 십자가이다. 다른 사람의 죄를 내가 짊어지고 다른 사람의 의를 나타내주는 것이 곧 십자가이다.
십자가는 나를 부인하고 주님을 따르는 것이다. 내가 내 죄를 회개할 때 예수님이 대신 지셨던 죄의 누명이 벗겨지게 된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채찍을 맞고 곤욕을 당해도 오히려 저들의 죄를 용서해 달라시며 묵묵히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죽기까지 순종하셨다. 이렇게 주님이 십자가를 지셨기에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분쟁이 없어졌고 화해를 이루었다.
이 책은 [영혼의 창], [묵상하는 삶] 등을 통해 전 세계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은 ‘영혼의 작가’ 로 불리며, 미국 기독교출판협의회에서 주는 골드메달리언 상을 두 차례 수상한 저자 켄 가이어가 미켈란젤로의 걸작 ‘피에타’를 보면서 십자가를 묵상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기독교 작가 맥스 루케이도가 “나는 그냥 작가이고, 켄 가이어가 진짜 작가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그의 글에는 깊은 통찰과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
묵상이 탁월한 켄 가이어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부활을 어떻게 풀어냈을까. 늘 세밀한 관찰자의 눈으로 세상의 모든 창을 통해 하나님과 교제하는 그는, 이 책의 서문에서 “때로는 자아라는 돌의 고집스런 부분이 망치에 부서져 그리스도의 형상을 본받아가는 일상에 대한 얘기”라고 말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그분이 ‘찔리신 것’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다. 그분이 ‘상하신 것’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다. 그분이 ‘맞으신 것’은 우리를 낫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 쓰인 동사를 보라. 모두 피동이다. 여러 손이 그분을 공격했다. 서로 다른 손이지만 모든 손이 적의 손이었다. 그리고 그 모든 손의 이면에는 최대의 적, 사탄의 손이 있었다.”(p.79)고 말한다.
저자는 “미켈란젤로가 거칠고 커다란 대리석에서 아름다운 형상 <피에타>를 조각해낸 것처럼 우리를 조각하시는 하나님께서 우리 안의 자아를 깎아 그리스도의 형상이 드러나도록 하신다.”고 말한다.
주님은 우리가 십자가를 바라보며 변화하길 원하신다. 바라보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분처럼 닮아가길 바라고 계신다. 하나님은 우리 안에 ‘자아’라는 돌에 갇힌 그리스도의 형상을 풀어주기 위해 예수가 아닌 모든 걸 깨기 시작하신다. 돌은 망치에 순종하든가 저항한다. 순종하면 우리 인생에서 그리스도의 형상이 서서히 드러나게 될 것이지만 저항을 일삼으면 하나님이 돌을 그대로 남겨두시는 날이 도래하게 된다.
이 책에 실려 있는 사진(미켈란젤로의 조각상)을 보면서 그리스도의 고통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며, ‘기도’의 예시와 ‘묵상과 대화를 위한 물음’을 통해서는 묵상과 기도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사순절 기간에 이 책을 읽고 ‘십자가 묵상을 위한 40일 기도 수첩’ 부록을 활용한다면 주께서 걸어가신 길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이 책은 십자가를 가까이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