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크리스 임피 지음, 이강환 옮김 / 시공사 / 2013년 1월
평점 :
인간의 영원한 화두인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라는 물음은 우리 모두에게 근본적인 중요한 물음인데,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도 가끔씩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의문이다. 이 모든 물음들의 밑바닥에 깔린, 그래서 우리가 방향과 가치, 의미와 목적의 문제를 놓고 어둠 속을 헤맬 때 최종적으로 되돌아가서 반문해봐야 하는 기본적 질문이 큰 물음이다.
그리고 이 물음에 대한 우리의 대답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우리의 삶의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이 문제와 진지하게 씨름할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인간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깊어지면 질수록 과연 인간답게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더욱 분명하게 밝혀질 것이다.
이 책의 서문에도 보면 “우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도 가끔씩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의문이다. 물론 부모님과 선조들의 유전자를 물려받았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고, 어느 지역에서 태어났는지 쉽게 대답할 수 있지만 그다음부터는 대답하기 어려워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미국 애리조나 대학교의 천문학과 교수이며, 우주생물학을 연구하는 세계적인 학자인 저자 크리스 임피가 137억 년 전 빅뱅으로 창조된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추적한다. 우주생물학이란 생명활동을 지배하는 법칙을 우주나 천체의 생멸과 관련지어 연구하는 최신 연구분야다.
우주생물학이란 생명 활동을 지배하는 법칙을 우주 또는 천체의 생멸과 관련지어 연구하는 학문. 저자는 빛이 먼 우주에서 다가왔다는 점을 들어 ‘과거를 보고 싶다면 그저 우주공간을 보기만 하면 된다’고 묘사하는 등 우주 과학을 철학적으로 풀어냈다.
저자는 지구에서 38만㎞ 거리의 달에서 시작해 1,000광년 떨어진 오리온 성운, 블랙홀까지 넓은 우주를 다루고 있다. 우리 은하와 닮은 안드로메다 은하와 암흑물질로 은하들이 묶여 있는 코마 은하단 등 은하의 모든 것을 살펴보고, 굵직한 우주 과학 이론을 조목조목 분석해 빅뱅의 순간부터 생명이 시작된 여정을 여행기 형식으로 엮어냈다.
이 책은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가장 가까운 이웃’에서는 가까운 달에서 시작해, 점점 태양계의 바깥쪽으로 나아간다. 프록시마 센타우리, 오리온성운, 블랙홀 등도 함께 살펴본다. 2부 ‘멀리 있는 세계’에서는 가장 가까운 은하에서부터 첫 번째 별이 등장한 먼 우주, 별들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시기까지 탐험한다. 우리은하와 닮은 안드로메다 은하와 암흑물질로 은하들이 묶여 있는 코마 은하단, 그 외 은하의 모든 것을 살펴본다. 3부 ‘우주 생명체를 찾아서’에서는 우주가 막 태어났을 때, 빅뱅에 대해 살펴본다. 빅뱅이론을 검증하고, 우주의 재료들을 살피고, 물질이란 무엇인지, 양자 우주와 다중우주론을 자세하게 살펴본다.
이 책은 골치 아픈 우주과학이론을 다루면서도 이해를 돕기 위해 우주를 인간에 비유할 뿐만 아니라 저자 개인의 이야기를 곁들여서 설명하므로 누구든지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란 질문에 해답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