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테의 하루 한마디 - 366일 발상의 전환
기하라 부이치 지음, 채숙향 옮김 / 지식여행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대학생 시절 읽었던 책 한 권이 생각난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라는 책이다. 이 소설은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20대 중반에 쓴 소설이다. 이 소설로 인해 괴테는 18세기에 일약 전세계적인 인기 작가 반열에 단번에 올랐다. 그런 괴테를 말해주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또 다른 소설이 하나 더 있는데 ‘파우스트’이다. 독일 문학의 최고봉을 상징하는 괴테의 생애를 돌아보면 이 두 소설로 그는 ‘거인’이라는 표현을 선사 받아 마땅하다.

 

독일 문학의 최고봉을 상징하는 괴테. 그는 80년이 넘는 긴 생애 동안 활동하면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같은 베스트셀러에서 ‘파우스트’ 같은 대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도 폭넓은 작품을 내놓았다. 그래서였을까.

 

나폴레옹은 1808년에 괴테를 만나고 다음과 같은 묘한 말을 남겼다. “여기도 사람이 있군.” 일각에서는 당대 최고의 영웅이며 천재로 칭송되던 나폴레옹이 괴테를 자신에 버금가는 인물로 인정한 것이야말로 최상의 찬사라고도 여긴다.

 

독일의 시인, 소설가, 극작가, 자연과학자, 미술연구가, 또한 바이마르 공국의 요직에 있었던 정치가였던 괴테는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 나폴레옹의 대두 같은 세계사의 굵직한 사건이 연이어 일어난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초. 괴테는 이런 역사적 격동기 속에서 문학뿐만 아니라 신학, 철학, 그리고 과학 등 여러 분야에 손을 댔다. 괴테만큼 다방면에 손을 뻗치고 많은 사람들에게 그 실력을 인정받은 위인은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여든이 돼서도 끊임없이 여인에게 사랑을 갈구했던 낭만적인 인물도 몇 없을 것이다.

 

이 책은 괴테의 작품(서간, 일기, 대화록 등도 포함)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마음에 감동을 주는 말을 고른 후, 거기에 편자의 짧은 코멘트를 달아 1년 365일 하루 한마디로 정리한 것이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하루에 대한 명언은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일어나고 경험하는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이야기 한다. 팔방미남 괴테가 들려주는 문학을 비롯하여 연애나 인간관계, 도덕, 인생의 교훈에서 역사, 과학, 사회의 사건사고 등, 삼라만상 이야기 등은 물론이고 자신의 문학작품에 대한 이야기까지 참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들에 대해 짧지만 가볍게 생각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더불어 괴테가 한 이야기 밑에 그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이 첨부되어 있어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책에서 ‘오해’에 대해서 말하기를 “자기가 얼마나 자주 타인을 오해하고 있는지를 자각한다면, 남 앞에서 많은 이야기를 할 마음이 들지 않을 것이다.”(p.180)고 했다. 둘이서 같은 책을 읽고 같은 풍경을 바라봐도, 읽어내는 것이나 기억에 남는 것은 거의 일치하지 않는다. 인간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치하지 않는 것도 당연하다. 그러므로 타인에게 오해를 사는 일도 별로 신경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나는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매일 이 책에 있는 내용을 읽고 묵상을 하고나서 하루의 일을 시작한다. 많은 것을 생각하면서 하루를 멋지게 사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