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의 조건 - 사람은 무엇으로 행복을 얻는가
바스 카스트 지음, 정인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MBC 자원봉사 희망프로젝트 ‘나누면 행복’이라는 프로를 보고 많이 울었다. 아프리카의 말라위라는 곳은 기아문제로 인한 영양실조로 12초에 1명, 1시간에 300명의 어린이가 죽어갈 만큼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는 국가다.

 

수도 릴롱궤와 가까운 핀녜 쓰레기 마을이라고 불리는데 릴롱궤의 모든 쓰레기가 모이는 만 평 이상의 쓰레기장이 있는 마을로, 주민의 80% 이상이 쓰레기장에서 음식을 구하고 있었다. 태어나 단 한 번도 상하지 않은 제대로 된 음식을 먹어본 적이 없다는 아이들의 말에 안타까움을 금치 못했다.

 

“왜 우리는 이렇게 부유한데도 행복하지 않을까? 왜 우리는 자유로운데도 원하는 대로 살지 못할까? 왜 우리는 행복을 찾지 못할까? 혹시 엉뚱한 곳에서 행복을 찾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은 현재 독일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진 저널리스트이자 심리학자인 바스 카스트가 선택지가 많이 늘어나고 인류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으면서도 결코 행복하지 못한 현대인들의 삶을 통찰한다. 인간이 살면서 추구하는 보편적인 욕구 ‘행복’을 개인의 ‘선택’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물질은 풍요롭지만 마음은 풍요롭지 않은 시대에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에 대해 탐구한 인생보고서이자, 이 시대에 꼭 필요한 ‘힐링’을 이야기 하고 있는 고품격 자기계발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는 선택의 폭이 넓을 때 , 거기서 얻는 선택의 만족감도 더 커질 거라고 믿는다. 하지만 다양한 대안이 제시될수록 고민도 깊어지고 선택에 대한 확신도 줄어들어 미련이 커진다.”며 “수많은 자유와 더 큰 가능성에도 만족하며 살지 못하는 우리의 인생과 같은 이치”라고 강조한다.

 

돈이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힘들다. “사람 나고 돈 났다”는 말처럼 사람이 돈을 만들었지만 오히려 돈이 우리의 생활을 좌우하고, 마침내는 우리 삶의 성패까지도 결정할 정도로 세상을 완전히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돈 때문에 자신의 명예와 정치생명을 한순간에 잃어버리기도 하고, 돈을 탐하다가 인생 망치고 불행하게 되는 경우를 우린 너무 많이 보아왔다.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돈의 유혹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거의 이 세상을 움직인다고 단언할 정도로 돈의 위력은 대단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돈에 대한 태도를 어떻게 가지느냐에 따라 행복의 척도가 아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더욱 행복해지기 위해 돈을 벌지만 돈이 주변 사람들과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고 인간관계를 약화시키기도 한다.

 

이 책은 오늘날 우리가 행복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우리의 행복을 방해하는 요인들에 대해 자세히 짚어주며, 너무나 많은 선택의 스트레스에서 보다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현명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풍요 속 빈곤, 과잉 속 불만 시대 선택의 갈림길에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행복의 지혜를 줄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버릴수록 행복해지는 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