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마흔이라면 군주론 - 시대를 뛰어넘는 '세상과 인간'에 대한 통찰 ㅣ Wisdom Classic 7
김경준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 사회에서 기업처럼 변화무쌍한 조직도 없을 것이다. 기업의 수명은 아주 길어야 일이백 년이고, 보통은 몇 년에 그친다. 그만큼 변화가 심해 경영자들은 매일 매일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까’하고 고민한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의하면 ‘군주는 국가를 위한 목적으로 힘을 써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공정하고 지혜로운 지도자들을 필요로 하는 시대에 다른 사람들보다 새로운 지식에 목말라 하고 있는 이들은 리더들의 덕목이 된다. 그런 까닭에 냉정한 현실의 경험이 부족하고 한 조직의 리더로 활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선한 의지를 갖되 악을 이해하고 활용하라’는 현실적인 덕목을 설파한 마키아벨리의 사상을 그대로 이해하고 공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마키아벨리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연륜은 40대부터 될 수 있다.
“세상살이를 통해 자기가 보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이 형성된 후 40대에 마키아벨리를 만나라. 그러면 그동안 경험한 현실과 앞으로 헤쳐 나가야 할 현실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의 원천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경영컨설턴트인 저자가 조선일보 위클리비즈 인기 칼럼 <김경준의 군주론 경영>을 바탕으로 <군주론>의 핵심 메시지와 함께, 역사 속 인물과 사건, 현대 기업의 다양한 성공담과 실패담 등 130여 개의 다양한 사례들을 제시함으로써, 그 속에 담긴 마키아벨리의 생각과 주장이 동서고금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자세하게 보여준다.
이 책을 읽어보면 저자는 40대에게 군주론을 권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현실 경험 때문에 30대 초반까지는 마키아벨리를 이해하기가 상당히 어렵다고 말한다. ‘눈으로는 하늘을 보면서 이상을 추구하되, 발은 땅에 딛고 현실을 다룰 줄 알아야 한다’는 마키아벨리의 사상은, 이상과 현실이 적절히 공존하는 40세에 이르러야 공감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더 나아가 세상을 보는 나름의 관점이 정립되는 지천명의 나이 50대야말로 마키아벨리와의 진정한 공감대가 출발하는 지점이라고 한다.
마키아벨리는 ‘악덕처럼 보이더라도 번영을 위해서라면 행해야 한다. 미덕처럼 보이는 것도 실행했을 때는 파멸로 이어질 수 있고 반면에 악덕처럼 보이더라도 행하면 안전과 번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군주론 15장)고 하였다. 또한 ‘리더는 성스러운 신과 흉포한 야수의 속성을 겸비하라’고 말했다.
문화군주로 일컫는 세종대왕은 무력으로 영토를 넓힌 유일한 조선 왕이었다 전하고 있다. 세종은 김종서를 통해 여진족을 몰아냈을 뿐 아니라 두만강 하류에 ‘육진’을 개척하였다. 또한 화포 제작에도 힘을 써 여진족을 공포에 떨게 하는 등, 튼튼한 국방력이 조선시대 황금기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조직생활을 잘 해나가는 두 사람과 조직 내에서 ‘썩은 사과’로 분류되는 두 사람을 한 팀에 묶는 실험을 한 결과 잘 하던 사람의 업무가 현격히 떨어진 것을 발견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통해 단편적 선악과 도덕률에 얽매여 복잡다단한 현실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공동체를 파탄시키는 리더들에게 경고했다."(p.279)
이 책은 한번 읽고 책장에 꽂아두는 책이 아니다. 자주 읽고 생활에 적용하므로 훌륭한 리더로 만들어 주는 책이다. 정치지도자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