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황은 아름답다
우은정 지음 / 한언출판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속되는 불황으로 ‘고개 숙인 가장’ ‘방황하는 청년층’ 등이 늘어나면서 ‘노력하고 발버둥쳐도 안된다’는 식의 상황극복을 포기한 패배의식이 팽배해져가고 있다. 우리나라 자살율은 OECD 국가중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자살률은 2001년 인구 10만 명 당 14.4명에서 2010년에는 31.2명으로 배 이상 늘어났다. 2010년 기준으로 매년 1만5566명, 하루에 42.6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의 경우 사망원인이 44.9%가 자살이었고, 30대 33.9%, 10대 24.3%로 자살이 전체 사망원인의 3분의 1로 나타났다. 20대 청년층의 자살률 급증은 취업난·실업률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의 많은 젊은이들이 방황하고 있다. 삶의 가치를 저버리고 방황하는 젊은이들 이야기가 우리를 슬프게 한다. 흔히 어른들은 젊은이들에게 ‘방황하지 말라’고 교훈하기도 한다. 하지만 방황하는 20대에게 그런 교훈의 말은 전혀 위로가 되지 못한다.

 

이 책의 제목이 <방황은 아름답다>이다. 또한 부제가 ‘20대의 방황은 우리 생애 한 번뿐인 특권이다!’라고 되어 있다. 인생은 누구나를 막론하고 방황을 경험한다. 10대에 방황하는 사람, 20대에 방황하는 사람, 30대에 방황하는 사람 등 시기는 다르지만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나 역시 군입대를 하기 전에 방황했던 적이 있었다. 장래에 대한 불확실성, 직장, 결혼 등의 문제로 이리저리 흔들렸다.

 

이 책의 저자 우은정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2008년 스물넷의 나이로 사법고시에 합격하여 전형적인 모범생의 길을 걸어오다 연수원 입소를 2년 미루고 세계여행을 준비했다. 1년간의 세계여행을 위해 1년간 아르바이트를 하고 언어를 공부하고 책을 읽었다. 그리고 비행기에 올라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시작으로 아프리카, 중동 그리고 남아메리카까지. 319일 동안 세계 곳곳을 헤매고 돌아왔다. 저자의 방황이 아름다운 것은, 그 막연하고 힘든 방황을 즐기기 위해, 누리기 위해 떠났다는 것이다.

 

저자는 젊은 날의 방황은 자신의 삶을 위해 꼭 필요한 것임을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말한다. 방황이란 자신을 찾는 과정이므로 나쁜 것이 아니다. 머릿속에 있는 자신과 실제 자신의 차이를 알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 젊은 날의 방황은 꼭 필요한 것이다. 이런저런 문제에 부딪히기도 하고 깨져봐야 자신의 한계를 알 수 있으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런 과정을 통하여 방황은 새로운 자신을 정립하고 자신이 바라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초석이 되기 때문이다.

 

나도 많은 여행을 했지만 주로 선지국에 가서 관광을 했다. 하지만 이 책은 모두가 선호하는 유럽이나 선진국이 아니라 아프리카나 중동에서 더 많은 것을 보고 배울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생존 경쟁에 치여서 생각할 겨를조차 없는 많은 사람에게 인생에서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지금 당장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아직 터널 안에서만 헤매고 있는 사람들에게 진정한 청춘이 할 수 있는 아름다운 방황을 일깨워 주는 이 책을 젊은이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