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허허당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많은 사람들이 해외로 피서를 가지만 최고의 여름 피서법으로 독서를 꼽는 이들이 많다. 탁 트인 나무그늘이나 선풍기 바람 시원한 마루에서 한 장 한 장 책을 넘기는 재미는 여느 피서지의 즐거움 못지않다.

 

이 책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는 산중에서 명상과 화폭을 도구 삼아 성찰하는 허허당 스님이 자신의 글과 그림을 가려 뽑아 실은 에세이다. 몇 줄 안팎의 짧은 글이 페이지마다 실린 그림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글은 매우 간결하고 그림은 단순한 듯하지만 범상치 않은 법력이 마음을 간지럽힌다.

 

경북 비학산 자락의 작은 암자인 휴유암에 머무는 스님은 사찰도 없고 시주도 안 받는다. 그림이 팔리더라도 화구 구입비만 받고 남은 돈은 모두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며, 자신의 소유로 된 재산이 없는 무소유자다다. 30년 전 향훈이란 법명 대신 ‘허허당’이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허허당’으로 지은 이유는 비우며 사는 길에서 깨달음을 찾았고, 모든 것을 비워버리면 진리가 스스로 찾아온다는 깨달음을 얻었기 때문이란다.

 

스님은 ‘성인군자도’에서 “세상사람 누군들 아프지 않고 슬프지 않는 사람 있으랴 누군들 외롭고 고독하지 않는 사람 있으랴 다만 이 모든 것을 묵묵히 참고 견디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뿐이다. 아얏! 성인군자도 아픈 건 아프고 슬픈 건 슬픈 것이다.” 말한다.

 

또한 “받기보다는 주는 것이 더 행복하다는 것을 알 때 당신은 참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사는 것이다. 그대 오늘 불행했다면. 지금 당장 그대와 마주한 사람에게 무엇이든 줘봐라. 받기보다 주는 것이 더 행복하다는 것을 알 때, 당신은 참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사는 것이다. 그대 오늘 불행했다면 지금 당장 그대와 마주한 사람에게 무엇이든 주어보라”고 말한다.

 

이 책은 모두 5장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한 면에는 그림이 있으며, 또 다른 한 면에는 글로 채웠다. 1장은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2장 ‘찾지 마라, 잃기 쉽다’, 3장 ‘지금 그대는 무얼하고 노는가’ 4장 마음 감옥에서 나오니 눈이 떠지네’, 5장 ‘마음이 헛헛할 때 허허하기’ 등 이다.

 

저자는 ‘그리운 사람’이라는 시에서 “아무리 세상이 힘들고 어려워도 그리운 사람 하나 있다는 것은 참으로 귀하고 소중한 일이다. 지금 그대는 그런 사람이 있는가?” 라고 말한다.

 

또한 ‘몸’이라는 시를 보면 “그대를 속이는 것은 마음이다. 그대를 괴롭히는 것은 의식이다.그러나 몸은 정직하다. 가시가 몸에 박히면 ‘악’ 하고 소리가 나듯 온몸으로 세상을 보라”고 말한다.

 

스님의 글은 법륜스님이나 헤민스님, 정민스님의 글과는 색다른 뭔가 가 있다. 스님의 글과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모든 것이 내 마음 속에 살아 있음을 알게 되며, 또 그것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된다. 작곡가 김영동이 말한 것처럼 스님의 그림과 글 속에는 모든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외로움, 슬픔, 괴로움, 행복, 불행, 희망, 삶, 생명이 넘친다. 이 책은 불교인이 아니라도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