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인간관계를 돌아봐야 할 시간
가와기타 요시노리 지음, 송소영 옮김 / 걷는나무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한국 나이로 마흔 살이면 ‘불혹’이라고 한다. 정신적으로 강해지는 시기이지만, 신체적으로는 노쇠화되는 시기이다. <불혹, 혹은 부록>이란 글이 생각난다. ‘마흔 살을 불혹이라던가 내게는 그 불혹이 자꾸 부록으로 들린다. 어쩌면 나는 마흔 살 너머로 이어진 세월을 본 책에 덧붙는 부록 정도로 여기는지 모른다. 삶의 목차는 이미 끝났는데 부록처럼 남은 세월이 있어 덤으로 사는 기분이다’

 

마흔이면 생각할 것도 많고, 돌보거나 신경써야 할 것도 많고, 중요한 결정이나 결단을 가장 자주 내려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몸담아온 회사를 언제까지 다닐 수 있을런지 고민하는 시기이다. 또 자녀 교육비도 많이 들어가고, 돈을 써야 할 때도 많은 시기이다. 지금까지 뒤돌아 볼 틈도 없이 앞만 보고 달려왔다. ‘쉬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도 아직 해야 할 일도 많고 남아있는 인생도 긴 시기가 바로 마흔 즈음인 것이다. 그래서 공자는 논어에서 나이 마흔을 ‘불혹(不惑)’이라고 했다.

 

이 책은 20년간의 기자생활과 25년간의 강연 및 집필 활동을 통해 각계각층의 수많은 사람들의 인간관계를 연구해온 저자 가와기타 요시노리가 70년 넘게 인생을 살아오면서 자신이 체득하고 깨우친 인간관계 노하우를 정리한 책이다. 수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복잡하게 얽혀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회인들, 그중에서도 상사도 모셔야 하고 부하직원도 이끌어야 하며 질투하는 동료도 다돋여야 하고 회사 밖의 친분도 다지고 가족관계도 소홀히 할 수 없는 40대에게 어떻게 자신에게 필요한 사람들을 끌어당기고 신뢰를 쌓아가는 비밀을 알려준다.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저자는 ‘가장 힘이 되는 것이 사람’이라고 강조한다. 믿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도 사람 문제고,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것도 내 편이 되어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흔부터는 많은 사람을 아는 것이 힘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 책의 겉 표지에 “인생의 절반을 누군가의 마음에 들기 위해 살았다면, 나머지 절반은 마음에 드는 사람과 함께 하라”고 조언해 준다.

 

이 책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불가근 불가원’에서는 상사와의 인간관계는 너무 가까워도, 너무 멀어도 안 되는 관계이므로 멀리하지도 가까이하지도 말라고 한다. 2장 ‘혈구지도’에서는 부하직원과의 인간관계는 싫다고 느낀 것을 아랫사람에게 권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키워야 할 사람 vs. 내보내야 할 사람에 대해서 가르친다. 3장 ‘지가이여전 불가이여전자승’에서는 동료와의 인간관계를 할 때에 경쟁하고 싸워야 할 상대와 그렇지 않은 상대를 먼저 구분하라고 조언한다.

 

4장 ‘근자열 원자래’에서는 회사 밖에서의 인간관계는 가까운 사람을 기쁘게 하면 멀리 있는 사람이 스스로 찾아온다고 하면서 눈앞의 손익을 생각하지 말라고 한다. 5장 ‘인생삼락’에서는 가족과의 인간관계를 통해서 세 가지 행복을 찾아야 된다고 하면서 혼자 노는 즐거움, 공부하는 즐거움, 일과 상관없이 취미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상사와의 인간관계, 부하직원과의 인간관계, 동료와의 인간관계, 회사 밖에서의 인간관계, 가족과의 인간관계로 고민하는 나이 마흔의 사람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