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우리는 역사에 빠져드는가 - 어제와 오늘을 알면 내일의 길이 보인다
이수광 지음 / 소울메이트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내가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제일 좋아했던 과목은 ‘역사’과목이었다. 대학에서도 물론 역사를 전공했다. 그래서 지금도 역사 드라마는 빠짐없이 보고 있다. 광개토태왕, 무신, 인수대비 등은 시간이 안돼 보지 못할 때는 녹화를 해두었다가 꼭 보고 있다.
역사를 왜 읽는가? 저자는 “우리는 역사를 읽으면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고, 새로운 평가를 하게 된다. 지식, 즉 앎이란 모르는 것을 깨달아가는 것이다. 지적인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이고, 새로운 사실에 눈을 뜨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과거의 선물이고 역사의 선물이다.”(p.19)라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 이수광은 우리나라에서 팩션형 역사서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추리소설과 역사서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글쓰기와 상상력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대중 역사서를 창조해왔다. 저자는 삼국시대부터 발해, 고려, 그리고 조선의 뒷골목 구석구석을 20여 년간 찾아다니면서 역사를 살피게 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역사는 과거의 이야기이다. 과거에서 변화되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 오늘, 역사를 읽는 것은 미래의 비전을 위해서다.”라고 말한다. 역사란 재미를 위해서 읽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은 과거를 반복하기 마련이다.”라고 조지 산타야나가 말한 대로 우리는 과거의 잘못된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역사를 읽는 것이다.
이 책은 1장 역사란 무엇인가, 2장 역사는 진실인가, 3장 역사는 진보하는가, 4장 개인의 역사, 이렇게 크게 나누어 저자의 생각을 자유롭게 서술했다. 1장의 질문은 '역사란 무엇인가'이다. 우리는 이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본 일이 거의 없다. 그러면서도 역사의 준엄한 심판을 말하고는 한다. 그런데도 역사를 읽고, 논하는 것은 과거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다.
이 책은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역사란 무엇인가’에서는 역사의 기원부터 지구 창생의 역사, 문자로 기록하는 역사, 그리고 역사를 바꾸면 이상향이 건설되는지 논한다. 2장 ‘역사는 진실인가’에서는 승자가 기록한 역사「조선왕조실록」, 위서라 불리는 역사「화랑세기」, 위서가 만들어지는 이유, 편향된 역사「독재와 권력」, 지도자의 탐욕과 의문의 죽음들「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의 죽음」,「소현세자의 죽음」에 대해 다루고 있다.
3장 ‘역사는 진보하는가’에서는 역사의 희생자「전태일의 죽음」, 역사의 투사자, 6·25전쟁이 일어난 원인, 6·25전쟁과 김종필, 투사자들이 남긴 것, 역사의 목격자, 박정희 대통령의 시해사건, 역사를 움직이는 지식인들, 조선을 건국한 지식인 정도전, 위선자의 역사에 대해 말하고 있다. 4장 ‘개인의 역사도 역사인가’에서는 개인의 기록「징비록」,「흠흠신서」, 개인의 서간, 개인의 일기, 개인의 그림, 신복윤과 김홍도의 풍속화 등을 통해서 당시 조선 사람들의 생활을 알려준다.
요즈음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파동으로 미국산 쇠고기 판매가 급감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때에 또 전문적으로 시위를 하는 자들이 쓸데없는 루머를 퍼트리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루머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활발하게 퍼트려 우리 사회를 혼란에 빠트리지만 그 어떤 책임도 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