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다
이의수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불혹, 혹은 부록>이란 글이 생각난다. ‘마흔 살을 불혹이라던가 내게는 그 불혹이 자꾸 부록으로 들린다. 어쩌면 나는 마흔 살 너머로 이어진 세월을 본 책에 덧붙는 부록 정도로 여기는지 모른다. 삶의 목차는 이미 끝났는데 부록처럼 남은 세월이 있어 덤으로 사는 기분이다’
마흔이면 흔히 ‘불혹’, 혹은 인생의 반환점이라 한다. 마흔이란 반환점을 지나, 이제 생의 후반부로 넘어가는 것이다. 영광의 날이었던 사람도, 굴욕의 세월이었던 사람도 이제는 뒤돌아서야 한다. 사실 요즘 마흔 살인 사람들은 건강을 비롯해서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애매한 위치 등으로 각종 위기에 직면하는 시기이다.
나는 얼마 전에 우리나라에서 히트를 기록한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읽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큰 공감을 이끌어 내는 책이었다. 이 책의 저자 이의수는 남성사회문화연구소 소장이며, 마흔 이후 30년을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서드에이지 전문가이며, 사랑의교회 사랑패밀리센터 책임자, 아버지재단 대표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저자는 불안정한 사회 속에서 어느새 기성세대가 돼 버린 이 시대 40대들, 가족에 대한 책임감과 살아온 인생의 무게로 인해 아파할 수도 없는 마흔 전후의 아픈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인생의 온갖 무거운 짐을 짊어진 40대들을 위해 저자가 실제 겪은 사례를 근거로 해서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을 전해준다. 특히 4개의 파트로 나누어 15개의 진솔한 이야기를 통해서 이 시대 40대로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깨우쳐주며, 마흔 이후의 삶을 근심하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 등을 친절하게 일러준다.
나는 나이 마흔을 넘어서야 동창회에 나갔다. 얼마나 반가웠는지 밤을 새워가면서 이야기 꽃을 피웠다. 다들 좋은 직장에서 돈도 잘 벌고, 좋은 차들을 타고 와서 이런 전런 자랑을 늘어놓았다. 하지만 요즘에 와서는 다들 바쁘다는 핑계로 자주 만나지 못한다.
40대 남성들은 직장생활 하면서 해왔던 일들 말고는 잘하는 일이 별로 없다. 투잡에 대한 경험도 익숙하지 않으니 다른 기술을 가질 틈이 없었다. 이런 두려움에 쉽게 퇴사하지도 못하고 마음만 먼저 퇴사한 것이 마흔 세대다.
마흔의 남성들은 늘 자신의 인생에 대해 생각을 한다. 자신이 걸어온 길이 어떠했는지, 내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 뭘 하고 있는지, 앞으로 나아갈 길은 어느 쪽인지, 후회가 남지는 않을지 등 생각해본다. 그러나 안타까운 점은 생각이 생각에서 멈춘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의 에필로그에서 ‘지난 세월이 아름다웠듯이 우리의 미래도 아름다우리’라는 글에서 “중요한 거은 우리에게 남아 있는 미래다. 길면 40년 짧으면 하루가 남아 있다. 평균적으로 30년 이상 남아 있다. 보내온 날만큼 남아 있는 것이다. 그 날들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물론 답은 쉽지 않다. 지금껏 힘겹게 살아왔으므로 앞으로도 힘들 것이라고 지레 좌절하거나 자포 자기 하지 마라. 과거는 자랑스럽지 못했을지언정 미래는 얼마든지 자랑스러울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마흔을 앞두고 있는 자들이나 마흔을 훌쩍 넘긴 이들에게 유익을 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