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더 이상 당신의 가족이 아니다 - 사랑하지만 벗어나고 싶은 우리시대 가족의 심리학
한기연 지음 / 씨네21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가족이란 나와 가장 오래된 시간을 함께하였으므로 익숙하고 또 나를 만들고 올바르게 성장하게 해주는 원동력이며, 나를 구성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해 준 존재이다. 그래서 함께 있으면 마음이 편해지고 안정이 되는 존재이다. 그만큼 가족은 나에게 아주 소중한 존재요, 내가 사랑하고 앞으로 더욱 사랑해야할 자들이다. 가정이 불행하면 다른 일을 잘 할 수가 없고, 집안이 평온해야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일이 잘 풀릴 것이다.
요즘에는 많은 사람들이 가족의 소중함을 잘 모르는 것 같아 참으로 안타깝다. 항상 곁에 있어서 그 중요함을 모르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부모님은 나를 낳아 기르신 분이다. 그러므로 부모를 공경하고 잘 모셔야 하는 것이다. 또한 자녀들은 올바른 교육을 통해 훌륭한 사람이 되도록 키워야 한다.우는 것이다.
호연심리상담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 심리상담전문가 한기연씨는 상담 치료를 하면서 날마다 가족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내 삶이 가족으로 인해 자꾸 질곡에 빠진다며 그 ‘상황에서 벗어나라’고 조언해 준다. 가족을 벗어난다는 것은 가족을 버리거나 포기해 버리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나의 관계를 올바르게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 책은가족에게 받은 상처를 스스로 치유하고 가족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인생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의 ‘프롤르그’에서 ‘지금까지 나에게 가장 큰 상처를 준 사람은 누구인가?’, ‘지금까지 나에게 가장 큰 힘이 되어 준 사람은 누구인가?’ 질문해 보라고 한다.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는 것도, 구렁텅이에 빠진 나를 끌어올려 구원해 줄 수 있는 존재도 가족뿐이다. 가족은 우리에게 절망을 안겨주기도 하며, 동시에 희망을 안겨 주기도 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가족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어린 시절 우리 집에는 가난했지만 늘 행복했다. 부모님과 동생 넷, 모두 일곱 가족이 서로 사랑하며 화목했다. 지금은 동생들이 모두 결혼을 하여 모두 흩어져 살고 있지만 자주 모여서 부모님을 위해 음식도 해드리고, 용돈도 드리고 서로 어려울 때 도우면서 지내고 있다. 형제들끼리 아직 싸움 한번 해보지 않았다.
우리 주변에는 불행한 어린 시절에도 불구하고 현재 훌륭한 가정을 꾸리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어린 시절에는 부모의 사랑을 받으며, 모든 혜택을 다 받고 부모가 모든 것을 다 뒷바라지해 주었는데도 불행하게 사는 사람도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가족은 우리 인생의 목표나 대단원이 아니다. 가족의 문제는 그것 때문에 절체절명의 함정에 빠져 허우적댈 일이 아니며, 다른 모든 일을 제쳐놓고 그것을 최우선으로 삼아 몸부림 칠 일도 아니다. 가족은 단지 내가 이 세상을 살아가며 겪는 수많은 소중한 경험 중의 하나일 뿐이다.”(p.290) 고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게 된다. 비록 멀리 떨어져 있지만 언제나 보고싶고 그리운 가족들, 이런 가족들이 있다는 것은 얼마나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지 모른다. 행복한 가정을 꿈꾸는 모든 부모와 자녀들, 또 부부들에게 이 책의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