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 빛나는 우리 고전 그림책 시리즈 1
강벼리 글, 한태희 그림, 권순긍 자문 / 장영(황제펭귄)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경상도 두메산골에서 태어났다. 산자락에 옹기종기 20여 가구가 모여 사는 마을이었다. 낮에는 일을 하고 저녁에는 동네 사람들이 우리 집 건너 방에 모여 옛날 이야기로 밤을 지 세웠다.

 

이야기 중에는 호랑이가 나와서 우는 아이를 잡아 갔다는 얘기, 억울하게 살해당했거나 모함을 당하여 누명을 쓰고 죽었을 때 원한을 풀어주기 위해서 귀신이 나타났다고 한다. 귀신이야기를 듣고 나면 밖에 나가서 소변도 못보고 바지 옷자락에 그냥 싸버렸던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장화 홍련전>에도 귀신이 등장한다. 오래 전에는 텔레비전을 통해서 ‘전설의 고향’을 많이 보았다. 전설의 고향에 나오는 귀신은 머리를 풀어 헤치고, 흰옷을 입고, 입에는 칼을 물고 피를 흘리는 무서운 귀신이 등장한다.

 

이 책을 보면 장화홍련이 고운 한복을 입고 앉아 있는데 그 주변에 연꽃과 장미, 그리고 매화 꽃이 만발해 있다. 평안도 철산 땅에 배무용이라는 양반이 살았는데 두 명의 딸을 낳아 이름을 장화, 홍련이라고 지었다. 하지만 장화, 홍련이 어렸을 때에 어머니는 병이 들어 죽었다. 아버지는 대를 잇기 위해 새 부인을 맞이했는데 새 부인은 시집을 와서 아들 셋을 낳았다. 결국 새 어머니의 욕심 때문에 죽은 장화 홍련은 그 고을에 새로 부임한 원님 앞에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한다.

 

하지만 철산 고을에는 괴이한 일이 생겼는데 그것은 새 원님만 오면 모두 목숨을 잃었다. 나라에서는 고심 끝에 정동호란 무관을 철산 원님으로 내려 보냈다. 현명한 원님은 장화 홍련의 억울함을 듣고 새 어머니를 벌주었다는 이야기이다.

 

<장화홍련전>은 조선 효종 때 평안도 철산현에 일어난 실재 사건이라고 한다. 못된 계모의 박해로 장화 홍련이 죽었지만 원한을 갚기 위해 귀신으로 나타나 계모에 대한 원한을 갚고야 만다는 이야기를 통해서 죄 값은 분명히 받는다는 교훈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