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을 디자인하다
이승한.엄정희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때, 김난도 교수가 지은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책의 제목에 관해 깊이 생각해 보았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무슨 뜻일까? 아픔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좋지 않은 뜻으로 생각된다. 아픔과 고통은 피해야 할 것이고, 기쁨과 승리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로 생각된다. 그러나 김난도 교수는 말한다.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말이다. 청춘은 우리 인생에서 단 한번밖에 오지 않는 아주 짧은 순간이다. 모든 것을 할 수 있고, 모든 것에 실패해 볼 수 있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아픈 것은 청춘에게 당연한 것이다.

 

홈플러스 이승한 회장과 엄정희 사이버대 교수 부부가 이 시대의 아픈 청춘을의 마음을 어루만질 수 있는 에세이 <청춘을 디자인하다>를 펴냈다. 이들은 최근 1년간 대학생 8명의 멘토로 활동하면서 이 시대 청춘들이 겪는 어려움을 몸소 지켜보았고, 그 사례를 토대로 이 시대 청춘에게 자아 찾기, 직업 탐방, 관계 맺기 등에 대한 따스한 조언을 전한다. 특히 청년들이 “숨겨진 자아 영역과 맹목적 자아 영역이 점점 커진 채 군중 속에서 외로움을 느낀다”면서 “소유가치보다는 존재가치에 붙들린 사람”이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책의 ‘에필로그’에서 저자들은 “사람이란 꿈을 갖고, 그 꿈을 하나씩 실현해 나갈 때 가장 행복한 존재가 된다. 물론 꿈을 향한 항해에서 거친 폭풍과 암초를 만날 수도 있다. 그러나 청춘들이여, 그대들의 항해가 비록 험난할지라도 주눅 들지 않고 희망을 선택하기를 부탁한다. 도전의 항해에서 때론 실패해도 그것마저 삶에 소중한 영양분이 될 것이다. 순항이든 난항이든 꿈이 있고 목표가 있는 항해는 항해이지만, 순항이라도 꿈이 없고 목표 없는 항해는 표류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고난을 겪어 본 사람만이 고난을 겪는 사람을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 있다. 그 고난을 겪으면서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고 진정한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고 하면서 “꿈을 쫓아 도전하도록 하는 힘, 다소 강한 비바람을 만나도 매일 기쁘게 살아 낼 수 있는 힘은 삶의 역경이 놓고 간 소중한 선물이다.”고 말하고 있다. 내가 현재 시련의 당하고 있다면 삶의 가치를 더할 수 있고 꿈을 더욱 찬란히 꽃피울 수 있는 선물을 받은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캄캄한 밤이 지나면 동트는 새벽이 온다.”, “추운 겨울이 지나야 따뜻한 봄이 온다.”,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상처 난 조개만이 진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수많은 말들은 고난과 어려움을 극복한 사람들만이 성공에 이룰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세계 위인들을 보더라도 역경과 고난을 이기고 극복한 이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고난 속에서도 희망이라는 빛을 바라보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역경은 축복의 디딤돌’이라고 하면서 ‘역경지수’를 높이라고 말한다. 스페인 속담에 ‘자갈이 없다면 시냇물은 노래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다. 잔잔한 바다는 노련한 사공을 만들 수 없다. 풍랑이 없는 잔잔한 바다에서는 제아무리 열심히 노를 저어도 노련한 사공이 될 수 없다. 폭풍 속에서 파도를 이겨 내는 법, 암초를 헤쳐 나가는 법 등을 익혀야 노련한 사공으로 성장한다.

 

이 책은 수많은 역경이 닥칠 때마다 오히려 그 위기들을 ‘기회’로 삼아 용기를 가지고 목적지를 향한 멋진 꿈에 도전할 수 있도록 비전과 삶의 가치를 일깨워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