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사랑을 가졌으나 사랑에 휘둘리지 않고, 권력을 탐하나 권력에 매몰되지 않는 미실. 타고난 미색으로 신라왕실의 권력을 장악한 여인 ‘미실’의 일대기를 김별아 작가가 소설 [미실]로 생생하게 되살려내면서, 매혹적이면서 위험한 여인 미실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이 책의 겉표지에서 저자는 “내가 아는 미실은 세상의 모든 여성이면서 그 모두를 뛰어넘은 어떤 존재다”라고 적고 있다. “전통적 여성상을 뒤흔들어 우리 모두를 혼란에 빠뜨린 매혹적인 장편소설”이다.

 

나는 2009년 MBC TV ‘선덕여왕’을 재미있게 봤다. 남성의 정치와 권력욕을 다룬 기존의 사극과 달리 선덕여왕과 미실이라는 걸출한 두 여성의 카리스마로 호평 받았다. 로맨스를 극대화, 여성시청자들의 감성을 파고들기도 한다. 남녀관계를 권력을 위한 도구 또는 수단으로 활용한 과거의 사극과는 판이하다. ‘사랑’이라는 아름다운 보편적 가치가 자연스럽기만 하다.

 

강릉 출신 김별아 작가가 쓴 이 책 <미실>은 출간 당시 3,400여건 이상의 블로그 서평이 온라인에 게재됐고 TV 드라마에서 미실의 캐릭터를 참조한 여성이 등장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은 역사소설이다. 미실 개정판은 초판 당시 분량 문제로 덜어낸 원고지 150매 분량의 원고와 120여개의 각주를 되살렸다.

 

신라시대의 여인이었던 미실은 왕 3명(진흥, 진지, 진평왕)과 태자(동륜), 화랑 우두머리인 풍월주 4명(사다함, 세종, 설화랑, 미생랑) 등 모두 8명을 정부로 삼으면서 왕실과 화랑도 조직을 쥐락펴락했던 당대 최고의 여인이었다. 「화랑세기(花郞世記)」에 의하면 미실은 화랑 사다함의 억울한 죽음과 마주치기 전까지만 해도 대원신통 계급의 평범한 여인이었다. 미실의 외할머니 옥진을 종주로 삼는 대원신통은 옥진이 법흥왕에게 했던 것처럼 임금에게 색공(色供), 즉 몸을 바치는 계급이다. 미실은 얼굴이 아름답고 몸은 풍만하며 성격도 명랑해서 ‘화랑세기’에 “세 가지 아름다움의 정기를 모았다”고 기록된 여인이었다. 지소태후가 미녀들을 궁중에 모아놓고 아들 세종(조선의 4대 임금 세종이 아니라 신라왕족 세종)에게 부인을 고르라고 했을 때 미실을 선택했고, 미실은 옥진에게 배운 갖가지 방중술로 세종을 사로잡았다.

 

정본에는 모계로 이어지는 ‘색공지신’의 혈통으로 태어난 미실의 운명, 그리고 진골 정통과의 경쟁구도가 초판보다 명확히 드러난다. 또한 미실의 남편인 세종전군의 쓸쓸한 죽음과 아들 보종에 의해 ‘미실궁주사기’로 정리된 사상가`정치가로서의 미실의 면모가 구체적으로 묘사되면서 ‘미실’이라는 인물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 ‘미실의 자녀들’을 정리한 표와 ‘화랑세기’에 등장한 ‘풍월주 계보도’를 추가했으며 몇몇 오기와 오류도 바로잡아 미실 마니아들에게는 또다시 책을 들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만날 수 없었던 미실의 숨겨진 참 면모를 엿본 것 같아서 무언가 마음이 뜨끈해지면서 기분이 매우 좋았다. 이 책을 왜 일찍 빼어들지 못했었나 하는 아쉬움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을 역사에 관심이 많은 역사학자들은 물론 대학생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