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눈을 감은 인간 - 상대의 양면성을 꿰뚫어 보는 힘
리사 맥클라우드 지음, 조연수 옮김 / 토네이도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사람 사는 곳에는 어디를 막론하고 말로 인한 크고 작은 갈등이 있기 마련이다. 어쩌면 이는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사실 누군가에게 화가 나거나 누군가와 갈등이 생겼을 때, 누군가와 언쟁을 벌이는 상황에 처했을 때, 현명하게 잘 대처하는 것이 쉬운 일만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화가 나면 눈물부터 나거나, 반박 한번 제대로 못하고 얼굴만 붉으락푸르락하다가 나중에 왜 한마디도 못했는지 분해서 밤잠을 못 이루거나, 무슨 문제가 생기면 벌컥 화부터 내 분위기를 망쳐놓거나, 함께 진흙탕 싸움에 휘말려 이겨봤자 진흙투성이가 되거나 하니 말이다.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통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의사소통이 없이는 집단이나 조직이 존재할 수 없으며 특히 조직에서의 의사소통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 연결시키며 의사소통을 통해서 구성원의 근무 의욕을 증진하고 사기를 고양하며 협동심을 고취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누구나 인간관계에서 성공하기를 원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것만 바라보게 된다. 원하지 않는 것들은 그것이 비록 사실일지라도 의도적으로 외면한다. 그 이유는 뚜렷한 팩트와 진실을 직시하기보다는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바라보는 것이 더 자신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우리는 커뮤니케이션과 인간관계에서 실패하고 만다.상대가 갖고 있는 이중성과 양면성을 정확하게 통찰하기보다는, 상대에게서 내가 원하는 것만을 보려하기 때문이다.

 

[포춘] 선정 500대 기업에서 25년 이상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활동하며 세계적 명성을 쌓은 리사 맥클라우드는 더 나은 인간관계를 고민하는 비즈니스맨들의 매력적인 멘토 역할을 하면서 탁월한 커뮤니케이터를 관찰하고 인터뷰하는 데 1만 시간 이상을 투자한 결과, 우리가 커뮤니케이션과 인간관계에 자꾸만 실패하는 명쾌한 이유를 찾아냈다. 그건 바로 상대의 ‘한쪽 면’만을 바라보는 인간의 무의식적 성향 때문이었다. 우리는 상대가 갖고 있는 양면성을 동시에 바라보기보다는, 한쪽 눈을 질끈 감은 채 내게 유리한 것들만 상대에게서 찾으려고 한다. 상대와 내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완전한 관계가 아니라 내가 원하는 것만을 얻어내는 ‘반쪽짜리’ 관계에 집착한다.

 

우리는 상대를 설득하여 더 많은 것을 얻어낼 수 있는 협상가가 되고자 노력하지만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은 상대의 존재 자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상대와 함께 더 높은 차원의 성공을 거두기 위해 전진할 때 이루어진다. 상대의 목표와 내 목표가 서로 결합되어 더 큰 것을 성취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완전한 인간관계를 이루어 낼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위대한 커뮤니케이터들은 단지 우리가 한쪽 눈을 감고 있을 때 양쪽 눈을 모두 뜨고 있는 사람들일 뿐이다. 상대의 눈으로 자신을 바라볼 줄 아는 사람들일 뿐이다.”라고 말한다.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과 인간관계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게 해준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인간관계에서 내가 지금껏 실패한 이유를 깨닫게 되며, 늦은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이 책을 읽은 것이 참으로 다행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