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 사람혁명 - 상대를 내 사람으로 만드는 힘
신동준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에게 익숙한 삼국지의 조조는 철저하게 능력 위주로 인재를 쓰는 리더로 잘 알려져 있다. 조조는 위나라를 세우면서 ‘흠이 있어도 능력이 있으면 된다’는 철학을 가지고 인재를 중용했다고 한다. 한마디로 실용인재론을 펼친 것이다.

수많은 영웅에게는 그를 뒤에서 받쳐주는 훌륭한 인재가 있었다. 적벽대전을 이끈 손권에게는 노숙이,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유비에게는 삼고초려 끝에 생사를 함께 한 제갈공명과 의형제 관우, 장비 등 헤아릴 수 없으리 만큼 많은 인재가 있었다. 그들이 있었기에 오늘날 걸출한 영웅인 ‘유비’가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은 동양 최고의 스테디셀러 [삼국지] 속 조조의 수많은 장점 가운데 인재 활용의 핵심 키워드가 담긴 책이다. 예나 지금이나 성공은 혼자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누구와 함께하느냐가 어떤 성공을 이룰 수 있는지 알려준다.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은 다른 사람으로 채워야 한다. 유재시거(唯才是擧 - 오직 능력만으로 사람을 뽑는다는 뜻)라는 화두로 한 가지라도 특별한 재주가 있는 자를 높이 평가하고, 인재를 알아보는 비상한 안목으로 그들의 마음을 얻는 조조만의 방법을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내고 있다.

[삼국지]의 걸출한 영웅, 조조와 유비 가운데 유독 조조에게만 사람이 끊이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유비하면 덕장(德將)이나 삼고초려(三顧草廬)가 떠오르지만 사실은 철저한 원칙주의자였다. 유비가 스스로 세우고 실천한 원칙은 당장은 바보스럽거나 답답해 보이지만 길게 보면 오히려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방통 같은 참모들이 좋은 계책을 건의해도 유비는 ‘인의상 그럴 수 없다’고 거절한 경우가 많았다. 또 유비는 권력을 움켜쥐기보다 권한을 위임했다. 유비는 인과 덕으로 사람을 대하기는 했지만 인재를 가려 썼다.

하지만 조조는 성실함과 속임수가 적절히 배합돼 지략과 모략으로 맛을 더한 인물이다. “내가 천하를 등질지언정 천하가 나를 등지게 하지 않겠다”며 인정받기 위해 더욱 체면을 세우고 호방한 기운을 드러낸다. 조조는 인물의 특성을 잘 파악해 필요한 사람이면 자신을 모욕했던 적에게도 손을 내밀었고, 작은 흠이 있더라도 더 큰 장점을 이용할 줄 알았다. 뿐만 아니라 걸출한 인물을 만들어갔다. 사람의 잠재력을 재빨리 간파하고 적정한 경력 관리를 통해 인재를 육성한 것이다.

조조는 재물을 원하는 자에게는 재물을 주었고 명예를 원하는 자에겐 명예를 주었다. 하지만 인재들이 조조에게 목숨을 바치며 충성한 이유는 자신의 능력을 알아보고 그것을 꽃피울 줄 알았던 조조에 대한 존경 때문이다. 사람은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목숨도 바치는 것이다. 자신과 마음이 맞는 사람을 만나기도 힘든데 목숨을 바쳐 충성하는 인재들이 가득했던 조조가 사람을 얻고 그들의 능력을 끌어낸 스토리는 언제 읽어도 흥미진진하다.

이 책의 저자는 “조조의 리더십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의 ‘사람혁명’이다.”라고 강조한다. 그에게는 인재를 얻고 활용하는 ‘득인(得人)’과 ‘용인(用人)’의 남다른 지혜가 있었다. 신분과 형식 등에 얽매이지 않고 능력만 있으면 과감히 발탁해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인재정책은 조조가 천하를 호령할 수 있었던 힘의 원천이었다.

리더는 인재를 발굴하고 능력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을 찾아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누구나 다 만족할 수 없기에 ‘잘해야 본전’인 게 인사정책이다. 하지만 ‘인사를 만사’라고 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인재를 쓰고 안 쓰고에 따라 역사의 큰 획이 바뀌어왔기 때문이다. 또 인사를 제대로 해야 조직이 순리대로 잘 굴러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진정한 인재를 발굴하고 그를 적재적소에 쓸 줄 아는 리더십만이 조직의 안정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조조에게는 영원한 적도, 아군도 없었다. 필요하면 적도 스카우트 했던 리더로서의 조조! 나는 그에게서 새로운 리더십을 배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