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형 인간
진혁일 지음 / 보민출판사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요즘 나오는 사회 이슈들 중에 자주 나오는 단어 중에 하나가 성공이다. 성공에 대한 책들이 많이 나와 있고 사람들의 관심도 많다. 그 많은 책들 중에서 내가 읽은 책은 극히 일부라고 할 수 있지만 내가 책을 읽고 나서 깨닫게 된 것은, 성공에 관한 책들을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장점을 살려야 성공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책과 또 하나는 자신의 단점을 고치면 성공한다는 점을 강조한 책,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알렉산더형 인간의 공통점 두 가지를 이야기 하고 있다. 첫째, 시시때때로 그들을 괴롭히는 편집증적, 히스테리성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둘째, 그 콤플렉스에 지배당하기보단 오히려 영웅적인 ‘꿈’으로 맞설 수 있는 강인한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콤플렉스가 없는 사람은 그 콤플렉스의 힘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는 살콤플렉스를 새아가면서 직.간접적으로 무수한 경험을 한다. 이 경험에 대한 기억들은 의식세계에서 곧 잊혀져 무의식의 세계로 흘러간다. 그리고 그 무의식 속에서 서로 유사한 주제를 중심으로 뭉쳐 각종 덩어리를 형성한다. 이 덩어리 속에는 우리가 지금껏 살아오면서 그러한 주제와 관련된 경험을 할 때 마다 보이는 ‘반응’까지 결합되는데 이 복잡한 덩어리를 ‘콤플렉스’라고 정의하면서 실패를 통해 자신을 완성해 나간다고 강조한다.

우리에게는 성공으로 가는 문이 있다. 하지만 성공으로 가는 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하게 되는데, 거기서 주저 않는다면 성공은 볼 수 없다. 운명의 여신은 용감한 자의 것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학교를 나오지 못해 학력 콤플렉스에 시달리게 되었지만 그것을 능가하겠다는 투지로 대통령까지 되었다.

이 책에는 동서양 철학과 심리학, 전쟁사, 자기계발, 기업경영 등이 집대성돼 있다. 성공한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콤플렉스를 이겨내고 세계적인 위인이 되며, 또한 거부 반열에 오를 수 있었을까 하는 궁금증을 논리정연하게 풀어나간다. 그래서 현대 사회를 살면서 상하고 지친 우리들에게 각 개인이 가진 콤플렉스를 꿈과 희망으로 공고히 다질 수 있도록 힘과 용기를 준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불굴의 의지가 있다면 얼마든지 실패를 이겨낼 수 있다고 말한다. 자아 정체성의 강화는 콤플렉스를 이겨내는 원동력이 된다. 성공이란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사람에게 찾아오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영국의 수상이자 제2차 세계대전의 영웅으로 불리는 원스턴 처칠이 1940년 독일의 공습으로 런던이 초토화 되고 있을 때 BBC 방송을 통해 외친 명언이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포기하지 마라”였던 것이다. 성공한 사람들의 좌우명인 “절대 포기 하지 마라”를 가슴 속 깊이 새기고 내 것으로 만들어 가라고 저자는 권한다.

콤플렉스에 빠져 늘 장래가 막막하고 두려웠는데 이 책을 읽고 꿈과 자신감을 얻게 되었고 두 주먹을 불끈 쥐고 ‘나도 성공할 수 있다’고 외쳤다. 젊은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