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개발, 길을 잃다 - 대형 개발에 가려진 진실과 실패한 도시 성형의 책임을 묻다
김경민 지음 / 시공사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내 주변에 아직도 집을 여럿 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강남이나, 분당, 수지, 판교 등에 거주하는 사람 중에는 서너 채는 기본이고 열 채 이상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도 부지기수다. '아직도' 주택이 큰돈이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주택, 즉 아파트 투자가 과거처럼 무조건 돈이 되는 세상이 지나가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 투자의 성공 핵심이 남보다 한 발 앞서 선점하는 것이라면 변화하는 패러다임을 통찰해서 투자 패턴을 바꿔야 한다. 과거의 패턴에 얽매여 막연히 '어떻게 되겠지' 하는 투자로는 절대 성공할 수 없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이 책의 저자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 전공 교수는 이 책을 통해서 뉴타운이니 ○○지구니 하며 진행되는 서울의 대형 개발사업의 문제점을 해외 사례를 비교하여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부동산 개발 관련 절차와 시스템에 어떠한 문제가 있으며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부동산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이 재개발 지역으로 묶여 있다면 관심을 가지고 읽어볼만한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우리는 많은 경험과 냉철한 판단력을 지닌 선장 없이 항해를 시작함으로써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했다. 이러한 오류를 제대로 짚어내지 못한다면 선장 자리가 텅 빈 채 항해를 떠나는 많은 배들이 국민의 혈세를 태워가면서 엉뚱한 항구에 도착하는 일을 반복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제라도 적합한 선장을 찾아내거나 안전한 항해를 책임질 선장이 나타날 때까지 잠시 출항을 멈추는 선택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서울 은평 뉴타운을 개발하면서 했던 구호는 ‘강북에 고품격 주거 환경과 교육 여건을 조성하여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고 삶의 질을 개선한다’는 것이었다. 과연 뉴타운을 건설하므로 거기 살던 사람들의 삶의 질이 나아졌을까. 하지만 은평 뉴타운은 대부분 중대형 아파트다. ‘지역 격차 해소’는 거기서 살던 저소득층을 대부분 삶의 터전에서 쫓아내고 다른 중산층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 17.1%라는 제2차 지구의 재정착률이 이를 대변한다.

저자는 국내 현실에서 제대로 된 도시 개발을 위해 우선 미국의 보스턴 재개발청 같은 공공 디벨로퍼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공공 디벨로퍼가 자산투자자의 역할을 해, 지금처럼 단기 분양에 사업 성패를 거는 사업이 아니라 장기 투자에 적극 나선다면 민간 디벨로퍼 역시 분양 일변도에서 장기 임대 전략을 택하는 방향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도시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제2장 ‘실패한 도시 성형, 용산국제업무지구’, 제3장 ‘돈 없는 당신은 뉴타운에서 살 수 없다’, 제4장 ‘부동산 전략이 기른 희비 타임스퀘어와 가든파이브’, 제5장 ‘뉴 패러다임 공공 민간 협동 개발’이다.

저자는 도시는 번듯한 ‘집과 건물이 모인 곳’이 아니라 ‘당신과 나,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라고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 건물이 아닌 사람이 살아가는 도시를 만들어 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된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