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의 심리학 - 어떤 상황에도 긴장하지 않는
사이언 베일락 지음, 박선령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댄스프포츠 경연인 ‘댄싱위드더스타’는 서바이벌 방식으로 매주 진행이 되었다. 총 4번의 1위를 차지한 김규리, 김강산 팀 그리고 총 3번의 1위와 심사위원 최고점을 받은 문희준, 안혜상 팀의 경합은 한치앞을 예상할 수 없는 놀라운 승부였기에 모두들 눈을 반짝이며 무대를 지켜봤다. 평소 김규리의 차차차는 완벽하다는 평을 들어왔고 문희준은 왈츠 자세를 연습하기 위해 맹훈련을 했었다. 그러나 두 사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벗어던져야할 김규리의 드레스가 풀어지지 않아 다음 무대로 넘어갈 때 두 사람은 큰 실수를 하고 만다. 노련한 출연자들답게 김강산과 김규리가 재빨리 수습하고 안정된 표정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자연스럽게 다음 장면으로 연결되지 못한 실수는 누구든 알아볼 수 있을 만큼 선명했기 때문에 한순간에 두 팀의 긴장감이 탁 하고 풀어지고 말았다. 이처럼 평소에는 잘하다가도 중요한 순간에 어처구니 없이 실수로 중요한 일을 그르친 예는 많이 있다.

미국 시카고대 심리학과 사이언 베일락 교수는 중요한 순간에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너무 긴장한 나머지 생각이나 행동이 얼어붙는 일명 ‘초킹’ 현상을 파헤친다. 저자는 일을 잘해야 한다는 중압감이 강하거나 성공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뇌 속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인간의 인지능력을 좌우하는 작업기억이 자리한 전전두피질이 압박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과잉반응을 보인다는 것이다. 평상시에도 긴장감 있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연습하여 실제 상황에서 대응력을 키우거나 명상 등을 통해 부정적인 생각에 관심을 기울이지 말고 이것을 인지한 뒤 곧바로 버리도록 뇌를 훈련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어떤 요인이 자신에게 가장 심한 압박감을 주는지, 혹은 앞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일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실력을 갈고 닦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쩔 수 없이 압박감을 느꼈을 때 해결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고 나면 성공과 실패 사이에 완벽한 차이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한다. 따라서 저자는 작업 기억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거나 상황에 맞게 그 역할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면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한 순간에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첫째, 긴장감을 연습하는 것이다. 중요한 순간을 대비해 비슷한 상황에서 모의시험을 치르면 좋다. 둘째, 심한 압박을 받을 때 느껴지는 자신의 신체 반응을 부정적인 쪽 보다는 긍정적인 쪽으로 해석한다. 셋째, 중요한 순간에 대한 걱정거리를 메모지에 적어본다. 이를 통해 불안함과 자기 불신을 줄일 수 있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마지막은 명상이다. 명상을 통해 부정적인 생각에 관심을 기울이지 말고 이것을 인지한 뒤 바로 버리도록 뇌를 훈련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방법을 통해 성공에 대한 압박이 심할 때도 남들보다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심한 압박을 받을 때 느껴지는 신체 반응을 긍정적인 쪽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해준다. ‘시험 준비가 안돼 미칠 것 같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떨리는 걸 보니 시험볼 준비가 다 됐군’하는 식으로 생각하라는 것이다. 또한 시험을 보기에 앞서 걱정스런 부분을 적어보는 것도 좋다고 한다. 명상을 통해 생각이 부정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고, 부정적인 생각이 들더라도 인지한 뒤 바로 버리도록 뇌 훈련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한다.

(이 서평은 21세기북스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