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와 16년 여름의 패전 - 1941년, 일본은 어떻게 무모한 전쟁에 뛰어들었나?
이노세 나오키 지음, 박연정 엮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요새 일본이 또다시 금수와 같은 야만성을 버리지 못하고 우리의 독도를 자기 영토라고 억지를 부리는 만행을 초등학교 교과서에 까지 기술하며 침략야욕의 마수를 다시 들어내고 있다. 일본 정부와 일본 의원들, 극우파 학자들까지 가세한 독도 침탈 행위는 가관이 아닐 수 없다. 일본 자민당 의원 세 사람이 남의 나라 공항에서 9시간 동안이나 농성을 벌이고 떠난 다음날 일본 정부는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방위백서를 발표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 외무성은 대한항공의 독도상공 시험비행을 트집 잡아 이용자제까지 지시 내린 바 있다. 지금 일본 정부는 조직적으로 침탈행위를 자행하고 있다.

오늘 세계에는 254개국이 있지만 이중에서 가장 반성할 줄 모르는 나라는 아마 일본이 세계으뜸일 것이다. 야비하고 무자비한 무력을 앞세워 우리를 침탈한 그들은 명성황후 시해를 비롯하여 가진 만행을 다한 일본이, 또다시 침략의 전철을 밟으려는 시도는 더 이상 우리가 묵과 할 수 없다. 이러한 일본을 우리가 바로 대응하는 길은 우리가 모든 면에서 힘을 기루고 극일을 제대로 하는데 있다.

우리가 비극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과거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역사전쟁에 지면 모든 것이 실패”요. “역사를 잊어버리는 자도 반드시 실패한다.”는 미국 산타야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우리는 일본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어왔지만 일본은 우리에게 은혜를 원수로 갚는 망나니 같은 짓만 해온 것이 한일의 역사이다. 우리나라가 932회의 외침이 있었는데, 그 외침의 주종을 이룬 것이 바로 일본이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 책은 일본의 저명한 평론가이자 논픽션 작가인 이노세 나오키가 총력전연구소의 시뮬레이션 과정과 실제 일본 정책 결정자들의 전쟁 결정 과정을 교묘하게 교차시켜 가면서 당시 전쟁 전야 일본의 숨 막히는 내막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은 70여 년 전 일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식 연호인 ‘쇼와 16년’은 1941년이다. 책의 내용은 제국 일본이 패망한 때가 1945년 여름이 아니라 1941년 여름이라고 주장한다. 1941년 4월 1일, 일본에서 ‘가장 뛰어나고 우수한’ 인재 서른다섯 명이 극비 소집되어 총력전연구소가 만들어졌다. 그들에게 주어진 임무는 현재 국내물자와 국제정세를 반영하여 미국과 총력전에 나설 때 그 예상 경과와 결과를 연구할 것, 바로 총력전 시뮬레이션이다.

이들은 미·영을 상대로 한 전쟁은 ‘일본이 진다’는 결론을 내린다. 하지만 일본의 정책 결정자들은 이런 데이터를 무시하고 전쟁을 감행하지만 결과는 총력전연구소가 예측한 대로 일본 패망으로 끝이 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의 교훈 같은 것은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일본, 과거의 잘못을 진솔하게 사과하지 않는 일본이 안타깝고 불쌍하기만 하다. 세계 2차 대전에 대해서, 또한 일본은 전쟁에 질줄 알았음에도 어떻게 무모한 전쟁에 뛰어들었는지 그 이유를 자세하게 알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 책에서 해답을 얻을 것이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