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니까 사랑이다 1
피에르 뒤셴 지음, 송순 옮김 / 씽크뱅크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이 소설은 프랑스에서 눈물과 함께 인기 절정을 이룬 32세의 철학 여교사와 17세의 고교생 제자 사이에 맺어졌던, 순수하고도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실제로 있었던 사랑 이야기로서 프랑스 대통령도 눈물을 흘린 감동의 실화이다. 1968년 5월, 프랑스 5월 혁명의 열기 속에서 기성의 모든 체제를 부정하는 가운데 이 이야기는 시작한다.

내가 학교에 다닐 때에 고등학교 여교사와 제자가 결혼했다는 기사가 나와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기억이 난다. 이 책의 겉 표지에 “제자를 사랑하고 죽음을 택한 어느 프랑스 여교사의 숨 막히는 사랑의 실화”라는 글이 이 책에 흥미를 끌게 한다. 이 책을 읽어본 사람들은 여교사와 제자의 사랑을 ‘참 아름다운 사랑’이라고 할 것이다. 요즈음은 많이들 이해를 하지만 40여 년 전에는 그 누구도 이해해 주지 않았다.

주인공 ‘제라르’의 학교에 새로 부임한 철학 선생 ‘다니엘’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의식을 불어넣으려고 한다. ‘다니엘’ 선생의 강의는 교실 안에서 끝나지 않고 카페에서, 알프스의 스키장에서, 5월 혁명의 시위 현장에서, 그리고 여름 방학 때의 바닷가 등에서 쭉 이어진다. 그러는 과정에서 ‘제라르’와 ‘다니엘’은 나이와 인습을 뛰어넘어 사랑의 꽃을 피워간다.

하지만 사회 통념의 벽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보수적이었고, 지나치게 높았다. 제라르의 아버지는 자기 아들이 미성년자임을 내세워, 다니엘 선생을 미성년자 유괴죄로 고발한다. 다니엘은 교수 임용에도 탈락할 뿐더러, 교도소와 법정을 들락거리게 됩니다. 제라르는 기숙학교에 유폐되는 것을 넘어, 심지어 정신병원에까지 갇히게 된다. 이 둘의 연애 사건은 학교와 가정, 기성세대의 감시와 억압에 부딪히고, 나아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캔들’로서 한동안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된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연상의 여자와 연하의 남자의 단순한 흥미 위주의 사랑이야기가 아니라, 이 소설을 통해서 사회적인 보수적인 통념과 여러 가지 부조리들을 고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침내 이들의 사랑은 비극적인 결말을 맞게 된다. 항소심이 열리기 며칠 전, 여선생 다니엘은 자신의 사랑을 법의 심판에 맡기지 않고 스스로 자살을 선택한다. 이 사건은 프랑스의 지식인 사회, 언론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전 매스컴이 일제히 펜을 들어, 자성의 목소리를 높였다.

“사랑하는 동료여, 태양이 존재한다고 말해주세요. 그리고 진실과 순수함이 이 세상의 것이라고... 그리고 그것이 나만의 몽상은 아니었다고 말해주세요...” 젊고 유능한 여교사였던 다니엘이 자신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자처했던 감옥에서 남긴 글이다. 이 글은 ‘사랑’을 한다고 하면서도 ‘진정한 사랑’을 하지 못한 내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이 이야기는 순간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로맨스도 아니며 에로틱한 통속소설도 아니다. 그렇다고 먼 곳의 이야기도 아니다. 우리들의 가슴속 가까이에서 피어나는 너무나 순결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이야기이다. 하늘도 누구도 이들의 사랑을 갈라놓을 수 없었다. 이 책을 통해서 ‘참 사랑’이 어떤 것인가를 배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