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공주
한소진 지음 / 해냄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방송작가 겸 국문학자로 활동하는 한소진씨가 여성의 시각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을 소설화해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바 있다. 한씨는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출신으로 결혼 후 임신 중에 방송작가 활동을 시작한 남다른 이력을 갖고 있다.
작가 한소진이 두 번째로 선보이는 장편소설 '정의공주'는 지금까지 한 번도 다뤄진 적 없는 세종대왕의 둘째딸인 정의공주의 열정적이고 지성적인 삶과 그에 얽힌 훈민정음 창제의 진실을 조명한 최초의 작품이다.
작가는 ‘세종께서…… 변음과 토착음을 다 끝내지 못하여 대군들에게 풀게 하였으나 모두 풀지 못했으나 정의공주가 풀어 바쳤다’(죽산안씨대동보), ‘우리나라 언문은 연창공주가 만들었다’(몽유야담)는 기록과 한글학계와 역사학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해 일었던 수많은 논란과 의문을 정의공주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새롭게 풀어내고 있다.
세종은 백성들을 위한 문자를 만들고 싶었다. 하지만 집현전 학자들은 중국과의 관계악화, ‘삼강행실도’의 실패 등을 이유로 반대하여 위기에 봉착했는데, 어려서부터 한자와 이두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가림토 문자 추적 작업을 지속해 온 정의공주로 인해 불씨를 되살리게 되었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중국의 눈치를 보는 조정과 최만리를 비롯한 집현전 학자 대부분의 반대는 당시의 작은 나라 조선의 엄연한 현실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비밀리에 완성한 조선의 문자는 세종과 정의공주, 왕자들이 백성들의 생활 속으로 직접 뛰어들어 발품을 팔아 가림토 문자의 흔적을 줍고, 이를 단서로 전국을 돌며 일군 땀의 결과물로 이루어진 것임을 이 소설은 생동감 있게 그려낸다. 또한 왕족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서 겪어야 했던 그들의 아픔을 함께 보여준다.
특히 정의공주의 시댁 죽산안씨 족보에 보면 “한글의 변음과 토착을 세종임금이 대군들에게 풀라고 하니 대군들이 못 풀자 세종이 정의공주에게 하명하였는데 정의공주가 변음과 토착(사투리로 추측)을 풀어 올려 세종이 극찬하시고 상으로 노비 수백 구를 하사하셨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훈민정음 창제에는 여성인 정의공주가 다른 왕자들보다 더 큰 몫을 해냈다.
세계에는 수천 개의 언어가 있지만, 문자를 가진 나라는 몇 안 되는 현실에서 훈민정음은 아름다움과 과학성을 자랑하며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문자로 자리매김한 지금, 과연 우리는 이 문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역사 속에 감춰진 비밀은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하면서도 관심조차 가지지 않는 현실이 안타깝다.
공주로서 편안한 삶을 살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주어진 삶에 안주하지 않고 수많은 편견과 아집을 넘어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고 자신의 꿈을 완성한 당당한 여성이었던 정의공주의 삶은 시대와 상황을 탓하면서 사는 우리의 삶을 부끄럽게 한다. 한글창제를 위한 세종대왕과 정의공주가 우리에게 주는 도전정신은 본 받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