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 외롭구나 (Plus Edition) - 김형태의 청춘 카운슬링
김형태 지음 / 예담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에게 가장 무서운 질병은 무엇일까? 에이즈? 암? 백혈병? 등 이러한 병들은 아직까지는 완치가 어려운 병이지만 그래도 치료하려는 의지와 진행과정이 있다. 하지만 인간의 마음을 조여오는 외로움은 어떻게 고칠 방법이 없는 것 같다.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갖기 시작하는 때가 인간은 불치의 병에 걸리는 순간이다. 여러 가지 만남으로 인해 잠시나마 잊을 수는 있지만 임시방편일 뿐,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는다. 사람들을 만나면 만날수록, 사랑을 하면 할수록 더욱도 많이 쌓여만 가는 외로움은 결국 인간을 공허한 존재로 만들고 만다. 인간은 누구나 외롭다. 외롭지 않은 순간이 한순간도 없다. 외로움을 기피하고 외면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바라는 게 없는 것이다. 외롭지 않은 사람은 꿈도 없다.
미술, 연극,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저자가 홈페이지 '카운슬링' 코너에 올라 온 청춘들의 고민들과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을 향해 던진 ‘쓴소리’로 오히려 장안 이태백들의 인기를 끈 인터넷 상담 사례들을 모았다.
저자는 스스로를 ‘무규칙 이종 예술가’라고 부르는 김형태씨다. 김씨는 다섯 장의 앨범을 발표한 ‘황신혜 밴드’의 리더이자 네 번의 개인전을 연 화가, 영화잡지의 칼럼니스트, 그리고 연극 ‘햄릿 프로젝트’에서 햄릿 역으로 백상예술대상 인기상을 수상한 배우이기도 하다.
그는 20대가 취업을 못하는 이유가 “정확히 하고 싶은 일이 없고, 특별히 할 줄 아는 일도 없고, 특별히 하고 싶은 일도 없기 때문”이며 “이들은 직업만 없는 것이 아니라 ‘싸가지’도 없고, 희망도 없고, 미래도 없다”고 비판한다. 가장 혈기왕성해야 할 20대가 그런 식이니까 사회가 무기력해지고 경제가 침체되어 불경기가 오는 것이다. 하지만 그가 쏟아내는 비판 속엔 20대에 대한 애정이 가득하다. 책 제목부터 그렇다. 그는 “요즘 20대는 세상으로부터 ‘왕따’ 당하고 있는 외로운 세대”라고 주장한다.
“더 이상 지혜를 일러 주는 어른도, 듣기 싫은 소리를 해 주는 선배도, 철학을 전수해 주는 은사도, 인성과 감성과 교양을 가르쳐 주는 학교도 없다. 소비문화의 ‘마약’만 맞으며 수경재배된 20대는 그래서 무섭고, 불안하고, 외롭고 답답한 것이다.”
스스로의 간절한 꿈을 이루기 위해 누구보다 치열하게 젊은 시절을 보냈던 김형태는 요즘의 청춘들을 더없이 불행한 세대라고 규정한다. 그들은 기성세대가 이룩해 놓은 안정과 풍요 위에서 온실 속의 화초처럼 나약하게 자라나 할 줄 아는 것은 그저 입시시험의 객관식 문제를 푸는 것뿐인 로봇 같은 존재들이라는 것이다. 그는 돈이나 조건을 탓하며 실망하고 좌절하는 젊은이들을 냉정하게 꾸짖고 따뜻하게 위로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용기를 준다.
카운슬러는 무엇보다 따뜻해야 한다. 상대가 처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냉철하게 분석하여 해결책을 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대의 고민에 공감하는 동시에 따끔한 쓴 소리를 아끼지 않아야 하며, 위로하고 격려하는 동시에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들어야 한다. 한 마디로 ‘병 주고 약 주고’를 잘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훌륭한 카운슬러의 역할을 꿋꿋이 해나갔다. 그의 따끔한 충고는 어떤 이해관계도 없이 오직 이 시대의 청춘들을 향한 ‘애정 어린 관심’에서 기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청소년들과 일반인을 위해 상담하는 카운슬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길을 잃고 헤매는 자들을 인도하는 자들에게 종교지도자들에게도 좋은 참고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