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화는 종이물고기도 헤엄치게 한다
조너선 플럼 지음, 유영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500여년 전, 일본의 한 작은 바닷가 마을에 ‘다이신지(大信寺)’라는 종이접기 장인이 살았다. 그녀는 어느날 완벽한 종이물고기를 만들었다. 지느러미와 아가미, 비늘이 생생하게 살아있는 걸작이었다. 시간이 흘러 종이물고기는 말을 하기 시작했다. 물고기가 처음으로 한 말은 “외로워요.”하고 외로움을 토로한다. 다이신지는 종이로 파도와 해초 고래 상어 등 바다세상을 창조해 주지만 종이물고기는 진짜 바다로 가게 해달라고 애원한다. 결국 다이신지는 종이는 종이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지만 종이 물고기를 진짜 바다에 데려가주겠노라고 약속했다. 다음날 종이물고기를 바다에 내려놓는 순간 진짜 물고기로 변했다.
“상상의 존재는 상상 속의 세계에만 머물러야 해!”라며 화를 내던 다이신지가 마침내 반신반의하며 창작품을 바다에 내려놓는 순간,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다. 종이물고기가 피와 살을 가진 진짜 물고기로 변해 유유히 바다로 헤엄쳐간 것이다. 이후 다이신지는 종이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냈으며, 그녀가 만든 종이 세계는 모두 진짜가 되었다.
이 책의 작가인 조너선 플럼은 사람이 종이로 만든 가짜 물고기가 바다를 열망해 결국 살아서 펄떡이는 ‘진짜’ 물고기로 변신하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혁신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도록 안내한다. 마치 종이물고기가 생명력을 얻듯이 불가능해 보이는 아이디어를 현실로 이뤄내는 ‘다이신지형’ 경영자와 리더를 위한 책이다.
이 책은 모두 2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파트 1에는 ‘바다로 간 종이물고기’라는 제목의 이야기를 일러스트와 함께 담았으며, 파트 2에서는 ‘변화는 종이물고기도 헤엄치게 한다’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를 통해 파트 1의 이야기가 전해주는 바가 무엇인지 풀어나감과 동시에 개인과 조직이 ‘변화’와 ‘혁신’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이론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이 “상상력의 힘은 지식보다 크다”라고 말했듯 우리는 현재 풍부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창의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상상력은 밑도 끝도 없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아픔을 공감하고 해결하려고 하는 능력에서 비롯된다. “세종대왕이 상상과 창조의 놀라운 산물인 한글을 창제한 근간은 바로 백성을 궁휼히 여겄던 마음이었다. 상상력과 창의성을 재능이나 특별한 무엇으로 바라보는 인식을 바꿔야 한다. 물음표를 거꾸로 하면 고리가 된다.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개념이 달라지지 않으면 변화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세상에 던지는 물음을 바꿔야 고리에 걸리는 것들이 달라진다. 상상하면 현실이 되고, 상상하면 불가능도 가능으로 바뀐다. 불가능한 꿈을 가능하게 만드는 힘 그것이 상상력이며 변화의 원동력이다.
저자는 기업 및 조직을 ‘큰 믿음의 사원’으로 만들어 창의성이 자라도록 하려면 자율, 놓아주기, 교환, 협력, 혁신 등 다섯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각 전략에 따른 원리, 훈련방법, 사례들을 통해 상황에 따른 응용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종이물고기 프로세스를 통해 스스로 세상이 요구하는 인재로 변화할 수 있는 싹을 찾게 되었고, 책장을 덮을 때는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자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