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아이들은 낯선 사람을 따라갈까?
EBS <아동범죄 미스터리의 과학>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 2010년 6월
평점 :
일시품절
그동안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아동 대상 범죄가 일어날 때 마다 부모들은 “절대로 낯선 사람을 따라가면 안 돼”라고 당부를 한다. 그런데 왜 아이들은 낯선 사람을 따라갈까? 이 책은 유괴예방책이 아니라 아이들의 심리와 아동범죄자들의 심리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실제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EBS에서 방영된 다큐프로<아동범죄 미스터리의 과학>를 책으로 엮어낸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왜 아이들은 범죄에 이렇게 쉽게 노출되고, 안전교육을 시켜도 예방되지 않는 것일까?’라는 근본적인 문제로부터 시작되었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께로부터 ‘낯선 사람을 조심해라’는 말을 수없이 들었기 때문에 아이들이 그 말의 의미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렇지만 아이들이 생각하는 ‘낯선 사람’은 어른들이 말하는 '낯선 사람'과는 너무도 큰 차이가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정관념들이 전부 잘못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 아이들은 여자보다는 남자를 또 예쁜 사람보다는 못생긴 사람을 낯선 사람으로 생각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책에서는 유괴범이 아이들을 유괴하는 패턴을 10가지로 분류하여 알려주고 있는데 애정표현, 도움을 요청, 애완동물을 이용, 선물을 이용, 위급상황을 가장, 놀이와 게임을 이용, 친숙한 이름을 이용, 친구를 가장, 온라인을 이용, 권위를 사용 등이 바로 그것이다. 너무나 다양한 방법이 있음에 놀라지 아니 할 수 없다.
책에서는 어린이 유괴유형으로는 ‘길을 모른다’, ‘목적지까지 같이 좀 가자’, ‘강아지를 잃어버렸는데 같이 좀 찾아 달라’, ‘엄마가 병원에 입원했다’, ‘너를 빨리 데리고 오란다’, ‘게임기, 맛있는 거 사준다’, ‘연예인 콘서트 가자’, ‘따라오지 아니하면 폭력 행사 하겠다’ 등으로 아주 다양하다고 했다.
어린이들이 유괴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항상 “엄마에게 물어보구요” “싫어요, 도와주세요”라고 큰소리를 치거나 “저는 어린이라 잘 몰라요. 어른들께 도움을 요청 하세요.”라는 저자의 글을 통해 이제는 어린이들에게 낯선 사람을 만날 때의 대처요령을 교육을 시켜 도움을 주고, 또한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영상을 통하여 그들의 충격적인 행동과 사고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 요령을 알려주어야 하겠다고 생각했다.
책의 끝부분에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한 마을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이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미래를 보호한다는 투자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해야 한다. 한 아이를 지키는 일이 결국 우리 모두의 아이를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책에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교육과 꼭 알아두어야 할 안전수칙을 50가지로 나누어 정리했다. 그밖에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여러 지원기관도 수록했다.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것은 아이들이 다양한 경험 속에서 위험상황을 직접체험해 볼 수 있는 상시 교육관이 운영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으며, 아이들이 바르고 건강하게 자라나며 꿈을 이루기를 바라는 모든 부모에게 이 책을 꼭 읽어보라고 권유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