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의 정원
다치바나 다카시.사토 마사루 지음, 박연정 옮김 / 예문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요즈음은 날씨가 너무 더워서 가족들과 밖으로 피서를 나가도 길에서 몇시간을 보내야하니 짜증밖에 나지 않는다. 그래서 최고의 여름 피서법으로 제일 좋은 것은 독서를 하는 재미가 솔솔하다. 탁 트인 나무그늘이나 선풍기 바람 시원한 거실에서 한 장 한 장 책을 넘기는 재미는 여느 피서지의 즐거움 못지않게 좋다.

우리나라는 1000만 관객을 동원하는 영화가 나오고, 인터넷 사용자 수가 세계 최대라고 자랑을 하지만 한국출판연구소 등이 발간한 독서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성인의 25%가 1년에 책 한 권도 읽지 않는다고 한다. 평균 독서량은 11.9권에 불과하고, OECD 국가 중 최하위에 속한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평균 한 달에 한 권 밖에 책을 안 읽는다. 이럴 때 나라도 책을 읽는 것은 얼마나 귀한일인가!

<知의 정원>은 서로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사람이 만나 각자가 읽은 책을 소개하고 비평하면서 독자들에게 고전적인 교양과 신자유주의의 과잉경쟁 시대에서 살아남는 법 등 엔트테인먼터와 실용적인 교양을 맛볼 수 있도록 해주며 독자들을 知의 세계로 초대하고 있는데, 그들은 이 시대 청춘들의 멘토로 알려진 다치바나 다카시와 일본의 대표적인 논객 사토 마사루이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놀라지 아니할 수 없었다. 그것은 다치바나씨가 소장하고 있는 책이 7~8만권이고, 사토씨는 만 5천권가량 된다고 하니 어찌 놀라지 않을 수 있겠는가? 또한 수 만권의 장서를 보관하기 위해 도쿄 시내에 고양이 빌딩을 지은 것으로 화제가 됐다고 한다.

<知의 정원>은‘이 분야에는 이런 책이 도움이 되고 저 분야에는 이런 책이 좋은 것이고…’와 같은 단선적인 형태의 독서법 권유 도서가 아니다. 두 사람의 대담은 어떤 분야에서 특정의 화두가 던져지면 거기서부터 꼬리에 꼬리를 무는 브레인스토밍의 화법을 따른다.

또 이 책 <知의 정원>에는 ‘우리의 뇌를 단련하기 위하여’ 그리고 ‘지금, 여기를 살아가기 위하여’라는 제목으로 2개의 북리스트가 각각 1장과 5장 뒤에 수록되어 있다. 첫 번째 목록에서는 소장하고 있는 책 중에서 100권씩을 소개하고, 두 번째 목록에서는 현재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고와 신서 중에서 100권씩을 추천하고 있다. 이 북리스트에 흥미로운 서평과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료들을 함께 담아낸 저자들은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지 그 당위성을 역설하며 독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강하게 자극하고 있다.

이 책은 지식을 단순히 합목적적으로 흡수하는 방식을 벗어나 현대의 지식세계를 불연속의 세계가 아닌 연속의 세계로 바라보게 하고, 따라서 지(知)의 전체상을 파악할 수 있게끔 도와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진정한 교양’이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찰하고 있다. 각자의 독서론에서 출발해 전방위로 펼쳐지는 두 사람의 대담은 우리 자신들의 사유와 시대적 배경이 더해져 새로운 지식과 교양으로 탄생할 수 있는 과정을 보여 준다.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책 읽는 국민이 부국을 이룬다”고 했으며, 키케로는 “사람은 책을 읽음으로써 의식의 싹을 틔우고, 성장하여 꽃을 피운다. 서재가 없는 방이야말로 영혼이 없는 육체와 같다.”고 한 말대로 다치바나 다카시와 사토 마사루는 시대의 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