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만으로는 돈이 돈을 버는 걸 절대 이기지 못한다 - 최성락의 돈의 심리 두 번째 이야기
최성락 지음 / 월요일의꿈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앤프리카페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부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이 커진 요즘, 서점가는 부자 되기 열풍으로 뜨겁다. 돈을 버는 방법을 다룬 재테크가 베스트셀러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나 또한 돈을 많이 벌고 싶은 욕심이 있는지라, 자연스레 그런 책들에 한번이라도 더 눈길이 가고, 내용에 관심이 가게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나 부에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 하는 것은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것이고, 한 살이라도 젊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데 조금이라도 유리 하다는 것이 이제는 새로울 것도 없다.

 

이 책은 교수로서 월급쟁이 직장인의 삶을 살다가, 주식과 비트코인 등에 투자하여 파이어족으로 인생 대전환을 한 최성락 전 교수(SR경제연구소장)가 행동경제학, 심리학, 투자학 등에서 이뤄졌던 다양한 실험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돈의 심리, 돈의 속성, 돈의 힘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자산이 늘어나면서 돈에 대한 사고방식도 점차 바뀐다. 사람들이 돈에 대해 하는 말들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서도 조금 해석이 달라진다.”고 하면서 자산 규모가 더 커지면, 그리고 나이대가 변하면 부자와 돈에 대한 시각이 또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자는 돈은 단순히 물질적 수단만이 아니라 그 안에는 도덕적 가치가 들어 있다. 적은 돈이라 해도 사람의 도덕적 가치를 건드리고, 그로 인해 사람들의 행동이 변화된다. 돈을 그냥 사용가치, 교환가치로만 보고 나눠줄 때 문제가 발생하는 건 이 때문이다. 돈은 도덕적 감정과 연관된다. 이 점이 여느 물건들과는 다른 돈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말한다.

 

평생 다니던 직장에서 은퇴를 하고 평안한 노후를 위해, 돈 걱정을 하지 않기 위해, 일하지 않아도 잘살 수 있는 부자가 되기 위해 어느 정도 돈이 필요한지 감을 잡기가 매우 힘들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난 후에 그 정확한 액수를 알게 되었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일하지 않고 돈을 쓰기만 하는데도 오히려 자산이 늘어나는 임계점이 금융자산 10억 원이라고 말한다.

 

책을 읽고 나면 자연스럽게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된다. “나는 10억 원이 있는가?” 저자의 월급만으로는 돈이 돈을 버는 걸 절대이기지 못한다는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요령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 오히려 왜 돈을 벌고 싶은가?”, “돈을 벌기 위한 태도는 어떤가?”에 대해 묻는다.

 

이 책의 노인들, 왜 돈 안 쓰고 묵힌 채 세상 떠날까?”에서 저자는부자가 되기 가장 쉬운 연령대는 노년이다. 청년, 중장년 때는 아무리 절약하려 해도 돈 쓸 일이 계속 생긴다.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늘어나는 지출 탓에 돈 모으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노년이 되면 자연스레 소비가 줄면서 돈이 모인다. 그렇게 10, 20년 이상 돈을 쌓아두다 보면 저절로 부자가 된다.”고 말했다.

 

이 내용에 공감이 가기도 하지만 한정된 노후 자금이기에 내 수명보다 돈의 수명이 먼저 다할까 봐 겁이 나기 때문에 돈을 쓰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옛말에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써라'라는 속담이 있다. 젊어서 열심히 벌고, 모으고 저축해서 노후에 노후자금으로 사용하는 것과 함께 이웃과 함께, 어려운 분들과 나누며 살라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