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가장 가까운 적, 성병
엘렌 스퇴켄 달 지음, 이문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북유럽 서평단으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최근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젊은 층에 성병이 증가하면서 많은 분들이 성병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성병은 여전히 부끄럽고 비밀스러운 질환으로 인식되어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 어렵다. 성병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병을 의미하는데 주로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에 의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이 책은 노르웨이의 성 건강 전문 센터와 성병학과에서 오랫동안 일해 온 엘렌 스퇴켄 달 저자가 매독, 임질, 헤르페스, 클라미디아, 생식기 사마귀, 질편모충염, 사면발니, HPV 관련 자궁 경부암, 미코플라스마, 옴, HIV와 AIDS 등 11가지 성병 질환에 관해 자세하게 알려준다. 성병에 관한 잘못 인식된 오해와 유언비어를 깨뜨리고, 수치심과 오명을 없애는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한다.
성병은 왜 걸리는가? 성병은 주로 성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전염성 질환을 말한다. 성병이 다른 전염성 세균질환과 구별되는 점은 성병의 원인이 대부분 불결하거나 부도덕한 성행위에 있으며 성병에 의해 일어나는 후유증이나 합병증이 당사자는 물론 그 배우자나 후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굳이 윤리성이나 도덕성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벌거벗은 세계사> 방송을 보면 인간의 성욕에서 비롯된 질병인 매독균의 감염 과정, 증상, 그리고 역사적 전파 경로,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이 매독 확산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흥미롭게 다룬다. 또한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에서도 성병으로 죽음을 맞이하는 여인의 이야기가 나오며, 에드나 오브라이언의 소설 <8월은 악마의 달>에서도 성병이 등장하고 있는 만큼 제대로 성병을 이해하는 것과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다.
저자는 “성병에 걸리는 일은 섹스의 일반적인 결과이며, 결국 섹스는 우리 인간이 즐기도록 프로그램된 활동이다.”라고 하면서 “성병은 누구나 걸릴 수 있으므로 감염은 종종 우리가 하는 선택만큼이나 운이 좋으냐 나쁘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신은 인간이 섹스를 즐기도록 창조했다. 따라서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최고조로 즐길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 지혜는 남자와 여자 모두에게 필요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성관계 후에 출혈이 있다면 몇몇 세균성 성병(클라미디아나 미코플라스마, 임질)으로 인한 자궁 경부의 염증일 수 있으므로 검사해 봐야 한다.”(p.120)고 말했다. 이런 증상은 여성의 경우 음경이 자궁 경부에 부딪혀서 발생하는데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저자는 매독이란 이상한 나선형 모양의 세균이 그의 음경 머리 부분 점막의 찢어진 부분을 통해 그의 몸에 침투한다고 했다. 매독은 세균인 매독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생식기 및 전신 질환으로 다른 성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파 위험이 매우 높다. 매독의 감염 경로는 모자 간 수직감염을 제외하면 대부분 성관계 등을 통한 감염인과의 피부 직접 접촉이다.
이 책은 누구에게도 말하기 힘든 성병 질환에 관해 병원에 가기 전 먼저 관련 정보를 쉽게 알 수 있고, 또 성병 예방에도 큰 도움을 줄 상비 약품과 같다.
매독의 기원지로 알려지는 아메리카 대륙에선 라마를 키우는 목동이 많았는데, 이들이 라마를 키우는 과정에서 아주 먼 곳으로 먹이를 구하러 가는 것이 필수적이었고, 그 기간 자신들의 성욕을 라마와의 수간(獸姦)을 통해 해소했다는 설이 있다. 이 과정에서 매독균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떠올랐으며 이런 이유로 잉카제국은 미혼인 목동이 암컷 라마를 소유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기도 했으며, ‘걸리면 죽는 병’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심각한 병이었다.
성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정말 당황스럽고 자괴감에 빠지기 마련이다. 누구에게도 말하기 힘든 성병 질환에 관해 병원에 가기 전 먼저 관련 정보를 쉽게 알 수 있고, 또 성병 예방에도 큰 도움을 줄 상비 약품과 같은 이 책을 관심 있는 분들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