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논어
공자 원저, 심범섭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좋사 서평단으로 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고전을 통해 자아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삶의 지혜를 얻었다는 말을 많이 들어봤다. 그래서 고전을 읽고 싶었다. 논어, 맹자, 소학, 대학, 중용 등 많이 들어보았으나 자신 없고 두려워 선뜻 손이 가지 않았던 책들... 왠지 한자들이 가득 있고 옛스런 말투가 어렵게만 느껴져 시도하지 못하다 나이가 드니 이젠 용기라도 내보자는 마음으로 청소년을 위한 논어를 읽게 되었다. 논어 책을 바로 읽어봐도 좋겠지만, 이미 읽고 자기 것으로 만든 분들의 생각이 궁금하기도 하고, 이 책을 읽으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고전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어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이 책은 심범섭 작가가 <논어>에 담긴 2천 년 전 공자의 지혜와 처세를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명하고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친근하게 풀이했다. 일러스트를 넣어 읽는 재미를 더했으며, 공자의 뛰어난 제자 공문십철뿐 아니라 논어에 나오는 인물에 대한 설명 등을 팁으로 달아 생동감을 더했다. 저자는 공자의 생애와 이상, 논어탄생 배경과 내용 등을 실어 몇 천 년을 이어온 공자의 사상을 제대로 알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는 우연한 기회에 주역을 읽고 동양고전의 매력에 빠져 고전 공부에 열중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학과에 진학해 주역의 태극사상과 생명사상 관련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고 한다.

 

<논어>란 공자가 제자, 학자, 임금, 관리, 일반 사람들과 문답한 내용과 제자들이 공자의 가르침을 서로 주고받은 내용을 모아놓은 어록으로 중국 유교 사상의 근본을 이루는 중요한 경전 중 하나이다. 논어는 인간의 도리, 윤리, 정치, 교육, 수양 등에 대한 실천적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 2,500년이 지난 지금도 동양 사상과 실생활에서 중요한 지침이 되고 있다.

 

이 책 <청소년을 위한 논어>20, 500여 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논어 원문을 9가지 주제로 나누고, 청소년들뿐 아니라 고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공자의 사상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고 재구성했다.

 

군신 관계뿐만 아니라 사람 사이의 모든 관계는 예가 기본이다. 이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에 대해서만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지켜야 한다. 어떤 관계에서든 서로 예의를 지키고 책임을 다해야 한다. 가족이나 연인처럼 친밀한 사이일수록 지켜야 하는 것에 대해서는 더 잘 지켜야 한다. 저자는 유학에서 예의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지켜야 할 예의가 있고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지켜야 할 예의가 있다.”고 하면서 상대방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예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에게 행해야 한다.”(p.26) 고 말했다.

 

이 책에서 효는 부모님을 물질적으로 풍족하게 해드리고 즐겁게만 해드리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효는 부모님이 베풀어준 무조건적인 사랑에 공경하는 마음으로 보답하는 것이고, 부모가 근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p.146) 라고 말했다. 공자는 먼저 효를 부양하는 것으로만 생각하는 점을 지적한다. 가령 자식이 부모에게 집을 마련해주고, 차를 사주고, 여행을 같이 다니고, 용돈을 드리는 것이 효도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공자는 개와 말도 기를 수 있느니라고 말한다. 짐승들도 돌보는 일에 소홀히 하지 않는다며 공경하지 않는다면 무슨 차이가 있겠느냐?”고 묻는다. 부모를 봉양할 때 존경하는 태도가 없다면 개와 말을 기르는 것과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논어의 한 구절 한 구절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준다. 짧은 글귀지만 깊은 고민을 담고 있는 표현이라 생각된다. 논어를 읽고 있으면 왜 우리가 공자를 성인이라고 부르는지를 알게 되고 인생을 살면서 마주하는 여러 가지 고민들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배우게 된다.공자의 지혜와 처세를 오늘의 현실에 맞게 들려주는 이 책으로 우리 현대인들이 인간관계에서 맞닥뜨리는 삶의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