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말 - 나를 향해 쓴 글이 당신을 움직이기를
이어령 지음 / 세계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의 지성이라 불리며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낸 이어령 이화여자대학교 명예석좌교수가 암 투병 끝에 별세한지도 3년이 지났다. 이어령이란 큰 산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비평가이자 작가·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문화기획자·신앙인·사상운동가로서의 그의 족적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는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이란 책을 읽다가 너무 어려운 내용이란 생각이 들어 정독해서 읽지 못하고 어려운 부분들은 조금씩 건너뛰면서 읽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의 제목과 같이 이어령 교수의 마지막 수업을 배울 수 있었다. 다만 아쉬운 것은 나의 지식수준이 부족하고 생각의 깊이가 얕아 모두 이해하지 못한 것이 너무 아쉽다.

 

이 책은 이어령 박사가 생전 수많은 요청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어록을 묶는 것을 미뤄오다가 작고하기 7년 전, 후대가 자신의 사유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 권의 책으로 엮기를 결심하고 3년 동안에 걸친 치열한 작업 끝에 그의 문장 하나하나를 정성스럽게 골라서 마음, 인간, 문명, 사물, 언어, 예술, 종교, 우리, 창조라는 아홉 개의 주제 아래, 그의 삶과 철학이 응축된 문장들이 펼쳐진다. 짧지만 깊고, 단순하지만 넓은 그의 언어는 읽는 이의 사고를 흔들고 깨운다.

 

이어령은 언제나 나를 향해 쓴 글이 누군가를 움직일 수 있다면 그것이 감동이라고 했다. 이 책은 단순한 글 모음이 아닌 시대를 초월하는 혜안으로 삶을 바라보게 하고, 사유의 깊이를 더해주는 인문학적 나침반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생전에 남긴 한 문장은 우리 삶을 다시금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게 만든다. 이제, 이 책을 펼쳐 그의 말을 듣고, 나만의 질문을 던질 차례다.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울림을 준다.

 

이 책은 상당한 부피로 406페이지나 되는 두꺼운 책인데 이어령 교수가 생전에 남긴 말들이 빼곡하게 들어있다. 세상의 틀과 사회의 눈길에 어깨를 펴지 못하고 살아가는 이들에게 자신이 생존해온 지혜를 아낌없이 나누어 준다. “정의로움은 입장에 따라 다릅니다. 그런데 사랑에는 입장이라는 게 없습니다. 남쪽의 사랑과 북쪽의 사랑이 따로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정의를 이야기하지 않고 자꾸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p.22). “눈물을 흘리는 동안에만 인간은 순수할 수 있다. 그런데도 그 순수성에 대해서 사람들은 모두 쑥스럽게 여기고 있다.” (p.50)고 했다.

 

이 책에서 온 국민이 다 같이 정보를 공유하고 사는 것. 그것이 바로 민주주의다. 군주제로부터 시작해서 나치, 공산주의 등 망해버린 나라의 공통 특징은 국민의 눈을 멀게 한 데 있다. 개방의 시대는 시장의 개방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개방은 개안으로 모든 사람이 눈을 뜨고 밝은 세상을 보는 데 있다.”(p.111)고 말했다.

 

이 책은 이어령 교수가 우리에게 건내 주는 마지막 선물이다. 먼저 세상을 살다간 이로서 보고 듣고 느끼고 깨달은 것을 때로는 단호하게, 때로는 부드럽게 이야기하면서 그저 선물 같은 삶을 온전히 겪고 느끼며 있는 그대로 살아가라고 우리의 어깨를 토닥여준다. 이어령 교수의 다른 책도 읽었지만, 이만큼의 감동과 놀라움을 가져본 건 처음이다. 누구나 한번쯤 읽어보아야 할 책인 것 같아 추천하고 싶다.


이 글은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