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가까이 죽음을 마주했을 때 - 자녀 잃은 부모의 희망 안내서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지음, 오혜련 옮김 / 샘솟는기쁨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서 한번은 죽는다. 죽는 것 때문에 인간은 누구나 두려워하고 있다. 인간이 죽지 않으려고 발버둥을 쳐보지만 이 세상 어떤 과학과 의학의 힘으로도 인간의 죽음을 막을 수는 없다.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은 죽음을 피해보려고 중국 전국과 해외까지 원정대를 파견해 불로초를 찾도록 지시하고, 여러 약초를 이용하여 불사약을 만들게 했지만 그도 별수 없이 죽음을 맞이하고 말았다.

 

이 책은 스위스 출신의 정신과 의사, 전 세계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로 평생 죽음에 대한 연구를 멈추지 않았던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죽음을 단순한 소멸이 아닌 옳겨감으로 바라보며, 자녀를 잃은 부모들에게 고통 속에서도 용기와 희망을 찾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저자는 700회 이상의 강연과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죽음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이를 통해 삶의 아름다움과 영적인 성장을 발견하는 과정을 담았다.

 

죽음이란 예나 지금이나 인간을 가장 곤혹스럽게 하는 문제이다. 생명에 대한 애착은 인간의 본성 깊이 뿌리박힌 강한 본능인 반면 죽음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필연적 사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생명에 대한 애착이 강할수록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강해질 수밖에 없다.

 

이 책의 부제는 자녀 잃은 부모의 희망 안내서로 우리들이 꼭 읽어야 하는 책이다. 우리가 마주하게 될 죽음혹은 그 이상의 벽과 같은 것을 마주하게 될 때, 문을 내는 방법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죽음은 생의 완성이자 졸업이며, 또 다른 출발을 앞둔 작별 인사이고, 새로운 시작을 하기 전의 종결이다. 죽음은 위대한 변화다. 이 변화는 모든 시대와 문화, 시간과 장소를 초월해서 이루어진다.

 

이 책에서 저자는 사랑하는 가족이 죽어 갈 때, 죽기 전 며칠이나 몇 주 동안 집에서 잘 돌보아 준다면 죽음은 악몽이 아닌, 나눔과 사랑의 아름다운 경험일 것이다. 또한 이는 죽음을 받아들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p.94)고 말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사랑하라고 강조한다. 사랑할 수 있을 때 최고로 사랑하라고 한다.“전혀 사랑하지 못했던 것보다 사랑했다가 잃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든다.”고 하면서 사랑이 전부라고 말한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를 대하면 사랑을 나타낼 수 있는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사랑이 전부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 일을 마치고 하나님께로 가까이 가, 다시 그의 빛 속으로 들어갈 준비를 위해 휴식과 긴 수면으로 들어간 것이다.” 사랑하는 단 한 사람만 있어도...

 

이 책에서 저자는 장례식은 우리 사람에서 소중한 사람의 죽음을 공적으로 인정하는 시간입니다. 이 사실을 수용하는 의식이며, 이후에도 서서히 이별하면서 찾아가는 마지막 장소입니다. 조문과 장례식에서 슬픔의 과정은 소중합니다. 여기에서 제외된다면 가족이 아니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라고 하면서 비록 어린 가족, 형제자매의 죽음을 만나더라도 장례식에 함께 참여할 것을 권한다. 이 책을 통해 죽음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죽음은 고통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천국이 있으므로 다시 만날 소망이 있다. 천국이 없다면 실망과 좌절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천국에 대한 소망이 있으므로 이별을 참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