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에 40대로 보이는 사람 80대로 보이는 사람 - 60부터는 외모에서 모든 것이 드러나게 되어 있다
와다 히데키 지음, 김정환 옮김 / 센시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들은 외모에서 부족한 부분이나 콤플렉스로 느껴지는 부분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매년 트랜드가 바뀌고 있어도 외모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보니 현대사회에서도 외모가 경쟁력으로 생각하여 높게 평가를 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동안외모를 선호하는데 자신의 실제 나이보다 어려보이는 외모를 뜻하는 말로 약 10여 년 전부터 모두가 추구하는 외모가 되었다. 물론 예전에도 젊어보이고자 하는 노력은 있어왔으나 그것은 이미 노화가 시작된 사람들이 젊은 시절 때와 같아 보이고 싶어 하는 것이었다. 인간의 외모는 살아가는데 중요한 자원이다. 그래서 외모를 가꾸는데 많은 돈을 지불하고, 고통을 감수한다. 외적인 아름다움은 사회생활에서 자존감을 갖게 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이 책은 현재 와다 히데키 마음과 몸 클리닉원장으로 있는 와다 히데키 박사가 40여 년 동안 수많은 환자를 치료하면서 효과를 본 것을 중심으로 20년 건강하고 생활 속에서 전두엽을 활성화하는 방법뿐 아니라 식습관, 생활 방식, 마인드 등 다양한 방법을 담고 있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 죽는 것이 아니다. 마음이 죽는 순간부터 나이가 들기 시작한다. 60대 부터는 외모를 바꿔야 한다. 겉모습이 곧 명함이 되어 버리는 나이가 60이다. 노년에 무엇보다 외모가 젊어보여야, 남들에게 인정받는다. 단순히 예쁘고 잘생겨 보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자연스러우면서 지적이고 매력적인 나만의 요소가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과거에는 파파노인이었던 60대가 오늘날엔 젊은이 같다. 누구나 나이보다 젊어 보인다는 말을 들으면 기분이 좋다.

 

이 책에서 저자는 크게 세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첫째는, 나이가 들어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젊어 보이려는 의욕 저하인데, 60부터는 이 의욕을 관장하는 전두엽의 기능이 확연히 떨어지기 때문에 그 기능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둘째는, 잘못된 식습관이다. 60대가 이상적으로 삼는 소식(小食)과 채식 위주의 식사는 오히려 피부에 주름을 늘리는 독이라고 하면서 식습관만 바꿔도 60에도 40대 피부를 가질 수 있다고 말한다. 셋째는, 세상이 주입하는 노인에 관한 온갖 오해와 고정관념의 실체를 알고 제대로 된 나만의 전략을 만드는 것이다.

 

이 책은 신체적 나이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젊음도 놓치지 않는데 있다. 화술과 대화법, 화장에 대한 노하우도 결국 그러한 부분과 결이 닿아 있는 것이다. 나 역시 신체적 나이는 하루하루 먹어가고 있다. 하지만 정신적 나이는 항상 그대로이다. 청소년기 이후 멈춘듯하다. 어렸을 때 당시 어른들을 보고 누구나 한번쯤은 나도 빨리 어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한번쯤 다들 해봤을 것이다. 하지만 막상 자신이 그때 바라보던 그 어른이 된 지금, 다시 그 나이 때로 돌아가고 싶은 것은 나 혼자 만의 생각일까?

 

저속노화는 신체의 노화 속도를 늦추는 것을 의미한다. 비슷한 개념으로 안티 에이징이 있는데, 엄연히 말하면 안티 에이징과는 다르다. 안티 에이징이 노화를 거부하는 것이라면 슬로우 에이징에 해당하는 저속노화는 신체가 보다 천천히 늙는 것에 집중한다. 노화의 속도에 따라 누군가는 마흔 살에 60세의 몸을 가질 수도, 예순에 40세의 몸을 가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100세 시대는 우리에게 축복인 것은 사실이지만 건강하지 못하면 지옥이 될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