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오후를 즐기는 최소한의 지혜 - 더 멋지고 현명한 인생 후반에 대하여
아서 C. 브룩스 지음, 강성실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학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크게 늘어나고, 특히 대한민국의 발전을 견인해 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의 단계에 들어서는 시대가 되면서 은퇴 이후 삶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크다. 60세에 은퇴를 하면 남은 삶을 편히 쉬면서 삶의 마지막을 맞이하는 것이 오랫동안 자연스럽고 당연한 삶으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누구나 100세까지 사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60세에 은퇴를 하면 이제까지 사회생활을 해온 만큼의 세월을 살아가는 것을 준비해야 하는 셈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길어진 수명을 행복하고 멋지게 누리려면 인생 후반전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후반전을 준비하는 지금을 나는 하프타임으로 생각하고 있다. 하프타임은 전반전을 돌아보며 후반전 작전을 짜는 시간이기도 하다. 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인생 후반전을 살고 싶다. 나를 더 다지기 위해서 인생 후반전에 관한 책들을 찾아보기도 한다. 그 중 한 권의 책이 <인생의 오후를 즐기는 최소한의 지혜>이다.

 

이 책은 미국의 사회과학자. 하버드 케네디 스쿨의 공공 정책 및 비영리 리더십 실무 교수,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경영 실무 교수로 리더십, 행복 및 사회적 기업가 정신 과정을 가르치고 있는 아서 브룩스가 인생 후반기에 접어든 사람들에게 삶의 목적과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어 남은 시간을 행복과 성공의 시간으로 만들 수 있도록 직업적·사회적 하강을 후회와 분노가 아닌 또 다른 성장과 초월의 기회로 바꾸는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는 쇠퇴기에 들어선 중년들이 새롭게 도약하는 방법을 알려주며, 새로운 도약을 막는 세 가지, 즉 일과 성공 중독, 세속적인 보상에 대한 집착, 그리고 쇠퇴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는 법을 설명해 준다.

 

이 책에서 저자는 나이 듦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서 쇠퇴는 막을 수가 없다. 하지만 나이 듦이 항상 나쁘지만은 않다.”고 하면서 나이가 들수록 복잡한 생각을 조합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더 뛰어난다.”(p.52)고 말했다. 나이가 들면 우선 신체적 문제가 생기고, 다음으로 외로움, 절망, 고립감 등으로 심리적 고통을 받는다. 이런 사람들을 보면 나이 든다는 일이 두려워지게 된다. 하지만 나이 드는 일은 우리가 거쳐야 할 숙명적인 과정이다. 부정하고 싶어도 부정할 수가 없다. 우리가 인간인 이상 나이 들고, 결국 육체적으로는 죽게 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인간을 구성하는 두 가지 지능에 대해서 말한다. 첫 번째 지능은 유동성 지능으로 논리적 판단과 유연한 사고를 하며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두 번째 지능은 결정성 지능인데 과거부터 현재까지 쌓아온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라고 한다.

 

저자는 직업적으로, 정신적으로, 또 육체적으로 늙고 있음을 느끼게 될 땐 쇠퇴기가 찾아왔다고 분노하지 말라고 하면서 나이 듦이 항상 나쁘지만은 않다.’고 하면서 새로운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한다면 인생의 쇠퇴를 새롭고 멋진 성공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 책의 에필로그에서 성공을 이어나가기 위해 새로운 삶의 기술을 배워야 한다고 했다. 그것은 물질을 활용하라. 물질은 사용하는 것이지 사랑할 대상이 아니다. 사람을 사랑하라. 잘못된 대상을 사랑하게 되면 좌절과 허망함이 따른다. 신성을 숭배하라는 것이다. 우상은 행복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자기 자신을 숭배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이 책을 통하여 인생 후반전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았다.


'이 글은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