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침입자들의 세계 - 나를 죽이는 바이러스와 우리를 지키는 면역의 과학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1
신의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러스는 우리 주위에 흔히 존재한다. 겨울이면 종종 걸리는 감기 역시 바이러스 종류의 하나로 인간의 면역력으로 이길 수 있는게 있는 반면 오늘 날 코로나 바이러스 처럼 백신으로 가능한 것이 있다. 그만큼 강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가 있기 전에도 사스와 메르스가 등장했지만 이처럼 심각하지는 않았다. 그렇기에 이렇게 바이러스게 심각하게 생각을 했던 적이 없이 더 경각심을 두고 바라보게 되었다. 여기서 먼저 바이러스가 침입을 했다고 해서 바로 감염이 되는 것이 아니다 몸속 세포 안으로 침입을 해야 그때 비로소 감염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바이러스가 또 세포 안으로 침입하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니라고 하는데 이는 세포 표면의 단백질과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이 서로 잘 맞아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침투했을 때 또 이를 막아주는 것이 있는데 이를 중화황체라고 부르는데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통해 얻으려는 것이 바로 이 중화황체다. 


단순히 생각하기에 면역력만 좋으면 좋다라는 생각이 그동안 너무 그릇된 생각임을 '중화황체'를 통해 알았다. 그런데, 백신으로 바이러스를 잠식시키면 좋지만 흔히 그렇듯 변이를 하거나 면역이 생겨버리면 백신의 의미조차 없어진다. 오히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피해 도망다니다 신체가 다시 약해지면 수면위로 올라오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대상포진이 될 수 있는 수두 바이러스다. 또한, 약한 헤르페스 바이러스도 있는데 이 역시 피곤하거나 힘들 때 잠깐 올라왔다가 다시 가라앉는 것이지 완전히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럼, 면역력을 높이는 좋을까? 이 또한 의문을 가져야 한다. 


희귀성이나 자가면역질환이라고 몸을 지켜줘야 할 면역반응이 몸 안의 세포나 단백질을 공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몸 안에서 바이러스와 그렇지 않는 것을 어떻게 구분 하는 것일까? 이건 구분을 하기 보다는 음,  쉽게 설명하자면 바이러스는 몸 안에 상주하는 것이 아니어서 낯선 존재로 면역이 익숙하지 않는 것을 공격으로 방어하는 것인데 면역이 반대로 이를 자신의 세포나 단백질을 적으로 간주하게 된 것이다. 정말 희귀성으로 과거에는 치료가 어려웠는데 근래에 와서는 치료가 가능하다고 하다. 하여튼, 이를 보면 면역이 많다고 무조건 좋다는 것이 아니라는 거다. 또한, 집단 면역에 대해 설명을 하는데 최근 스웨덴에서 코로나 사태로 집단 면역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럼 집단면역이란 무엇인가? 그건, 바러이스에 쉽게 감염될 수 있는 개체가 있더라도 주변 사람들이 모두 면역을 가지고 있다면 그 집단에서 바이러스 전파가 잘 이뤄지지 않는 개념으로 한편으로 취약한 개체도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로선 실패가 되었고 최근 백신을 맞았으니 여기서 집단 면역을 기대해보고 싶다. 


이 외에도 세균학의 창시자 코흐와 그의 제자가 만든 항혈청 치료법. 광견병 바이러스 백신을 만든 파스퇴르 등 과거에도 일어났던 바이러스를 잡으려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렇다면 왜 모든 바이러스에 백신을 만들기가 힘든 것일까? 이는 앞서 적었듯이 바이러스가 변이를 하기에 진행 중인 백신은 이 변이에 대항할 수 없어 무용지물이 되고, 결핵 같은 경우 면역반응으로 부터 은신을 해버리니 효과가 좋은 백신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사실이다. 참 정말 고되도 힘들다는 생각이 드는 문장이었다. 그러나 너무 절망을 하지 말라고 한다 이번 사태로 인해 세계는 바이러스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더 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과거에는 어느정도 안정이 되었을 때 바이러스에 대해 잡았다고 했으나 그거 오산 이었다. 그 뒤 이어 창출한 바이러스들이 얼마나 많은가...그리고 그동안 깊이 생각하지 못한 '바이러스'를 앞으로는 결코 가볍게 생각하지 않게 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이로 인한 희생이 따르기도 했지만 세계는 계속해서 변할 것이고 알 수 없는 질병과 바이러스와 싸워야 하니 더 경각심을 가지고 매진해야하는 인류의 숙제가 된 것은 확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