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얼로그 - 전시와 도시 사이
유영이 지음 / 효형출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와 전시가 무슨 관계가 있을지 궁금했는데 도시는 전시 그 자체였다. 다만 너무 일상이라 우리가 모르고 지나칠 뿐. 의미를 부여하면 모든 것에 의미가 있다는 말이 와닿는 책이었다. 작가는 전시와 도시 그 경계에 있는 꽃을 가꾸고 피워나가는 중이다.



이런 길이 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으로 주변을 둘러보다 이미 짧고 편리한 길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길을 만나 본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개구멍의 공간 너머, 장면 너머를 보면 그곳에도 사람이 있다. (66쪽)

개구멍 뒤에도 사람이 있다는 말이 인상 깊다. 주변의 모든 것이 의도를 가지고 설계된 게 와닿고 갑자기 낯설게 느껴진다.



중동, 이집트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뿐만 아니라 건축물까지 분해하여 가져온 후 독일에서 재조립한 경우가 다수이기 때문에 건물 안에 있는 건물이라고 볼 수 있다. (71쪽)

와... 유물을 훔쳐 간 것도 모자라 건물을 분해해 가져가 재조립이라니... 진짜 상상을 초월하게 무식하다. 건물 안에 있는 건물이 멋있게 느껴졌는데, 이젠 끔찍하다.



유심히 찾아보면 도시 곳곳에 시간이 녹아 있다. 공간을 어떠한 깊이로 보는가, 사람들과 함께 살아온 장소가 우리에게 이야기를 건넨다. (93쪽)

공간에 시간이 녹아있다는 말이 인상 깊다. 내가 방금 걸었던 길도 수천 년부터 누군가가 걸었을 길일 텐데 그때는 흙길이었겠지. 이렇게 생각하니까 도시가 조금 새롭게 보인다.



유명한 예술가의 집이나 작업실이 여전히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어쩌면 한 사람의 삶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 아닐까. 살았던 환경 예술적 영감의 원천, 창작을 위한 노고,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모든 정보를 함께 알아보고 싶은 호기심 말이다. (105쪽)

누군가의 생가, 묶었던 곳, 방문한 곳이 왜 유명명소가 되는지 이해하지 못했는데 이런 이유 때문이구나. 그 사람에 대해 알고 싶은 마음이 공간에 투영된 것이었다.



더군다나 전시품의 이름과 설명이 놓여 있지 않아 작품을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만이 전시를 즐길 수 있었다. 지식층은 책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전시품과 엮어 이해하고, 귀족층은 개인 교사를 동행하며 지식의 폭을 넓힐 수 있었으나 일반인에게 박물관은 엘리트주의의 대표적 상징으로 그저 두리번거리다가 출구에 도착해 나오게 되는 장소에 가까웠다. (121쪽)

이래서 박물관, 미술관을 떠올리면 어렵고 난해하단 생각이 드는 거였구나. 사실 설명이 적혀있는 지금도 딱히 작품이 잘 이해되진 않는다.



감상
코로나로 인해 전시의 형태가 어떻게 바뀔지 상상했을 때, 온라인 전시 말고는 딱히 떠오르는 게 없었는데 '도시' 그 자체가 전시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시는 무언가에 의미를 부여해 밖으로 보여주는 것인데 도시에 이미 나와 있는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면 그것 자체를 전시로 볼 수 있지 않을까. 내일 아침에 걸을 거리가 어제와는 달라 보일 것 같다.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랑한 화가들 - 살면서 한 번은 꼭 들어야 할 아주 특별한 미술 수업
정우철 지음 / 나무의철학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은 건 거의 처음인데, 작가가 왜 유명한 도슨트인지 알겠다. 설명이 이해가 잘되고 무엇보다 재밌다. '그림 속에 화가의 인생이 담겨있다'는 말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계기

 음악이나 미술이 있어 보여서 감상하고 싶은데, 막상 감상하려면 아는 게 없어서 뭐가 뭔지 모르겠고 공부를 하자니 그건 그거대로 또 골치다. 작가의 인생화가 11명의 이야기로 미술이랑 가까워져서 그림에서 무언가를 느끼는 내가 되었으면 좋겠다.


독서iNG

*앙리 마티스 - 색채의 혁명가, 야수파의 창시자

 그림이 얼마나 좋으면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와중에도 붓을 놓지 못하고 심지어는 다른 대안인 가위까지 들며 작품을 완성하는 걸까.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이라 그런가? 무언가에 자신의 모든 것을 다 쏟아붓는 모습이 멋있다.


*알폰스 무하 - 민족을 위해 그림을 그렸던 프라하의 영웅

 멋있다. 돈을 포기하는 게 쉽지 않은데 그걸 포기한 것도 멋있고 자신의 민족성을 나타내기 위해 생각을 행동으로 옮긴 실행력도 멋있다.


*프리다 칼로 - 고통으로 그려낸 의지의 얼굴

 육체적 고통이 가실 법하면 정신적 고통이 찾아오고 정신적 고통이 가려 하면 또 육체적 고통이 찾아오는 일이 쳇바퀴 돌듯 인생에서 반복된다. 뼈를 유독 많이 다치고 그게 그림에 나타났는데 보는 내가 아플 정도로 직관적인 그림이다. 저런 상황에서 자신의 꿈을 좇은 정신력이 정말 대단하다.


*톨루즈 로트레크 - 물랭루주의 밤을 사랑한 파리의 작은 거인

 사회로부터 냉대를 받았다는 이유로 범죄를 저지르는 인간들에게 로트레크의 인생을 들려주고 싶다. 내가 그였다면 우울감에 잠식되어 방에 처박혀 안 나왔을 것 같은데, 그는 밖으로 나와 자신과 같이 상처 입은 사람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그림을 그렸다. "인간은 추악하지만, 인생은 아름답다." 왜 이런 말을 했는지 알겠다.


*케테 콜비츠 - 자신만의 시선으로 현실과 투쟁을 기록한

 직접 겪지 않은 일에 진심으로 공감한다는 게 무엇인지 알 것 같다. 사실 어떻게 그게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마음 한 쪽에 여전히 있지만, 콜비츠는 그런 인생을 살았다. 내가 만난 사회문제를 표현한 예술작품 중 가장 직설적인 작품이었다. 그림이 글보다 더 정확한 설명이 가능하다는 걸 알게 해 준 작가다.


감상

 책을 다 읽었는데 딱히 마음에 꽂히는 사람은 없었다. 그래도 화가의 인생과 그림을 같이 보니까 왜 저런 그림이 나왔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근데 대부분 인생의 끝이 너무 비극적이어서 보는 내내 마음이 안 좋았고 나치 정권이 그 원인인 경우가 태반이라 화가 났다.

 내 눈에는 그림 속 인물의 표정이 우울해 보였는데, 그걸 행복한 표정이라고 해석을 한 부분이 여럿 있어서 지금 내가 우울한 상탠가 싶었다. 그림은 감상하기 나름이라는 말이 와닿았다. 앞으로 그림을 볼 때 남들 눈에 행복으로 보이는 게 내 눈에도 행복으로 보였으면 좋겠다.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