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돼지책 (100쇄 기념판) ㅣ 웅진 세계그림책 1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허은미 옮김 / 웅진주니어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아주 중요한 회사에 다니는 피곳씨와 아주 중요한 학교에 다니는 피곳씨의 아이들이 우리집에도 있다. 신기하게도 다른 집에도 무수하게도 많은 피곳씨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나의 피곳씨와 아이들에게 돼지책을 읽어 주었는데 반응은 아이들은 '엄마 나는 돼지가 아니야' ' 나는 이렇게 한적이 없는데' '나랑은 해당사항이 없어' 였고, 남편은 '그래서 어쩌라고' '나 돼지 맞아' 였다.
아이들은 집안을 어지르는 자신의 행동을 부정하였고, 남편은 내가 집안을 어지르고 마음대로 하는것은 밖에서 고생한 자기가 누리는 특권 쯤으로 해석하고 있었다. 내가 '양말은 벗어서 세탁기에 넣어야지' 하고 주문하면 '당신이 나가서 돈 벌어'오고 자기가 집안 살림 하겠단다. 밖에 나가서 돈 벌어올 능력이 이미 없어져 버린, 아니 돈 벌어올 수 있다고 해도 자기의 쥐꼬리 월급만큼도 벌어올 능력이 박탈된 나는 집에서 피곳들이 뒤집어 벗어 놓은 양말이나 정리할 밖에...
언젠가 텔레비젼의 어느 프로(행복한 동화인가?)에서 엄마는 그래도 되는줄 알았습니다. 엄마는 우리가 먹다 남긴 밥상에서 남은 밥으로 대충 식사를 해도 되는줄 알았습니다' 하는 엄마의 희생에 대해서 죄송한 마음을 고백하는 글을 본적이 있는데 그 아이가 성장해서 결혼하고 자기 아내에게도 어릴적 엄마의 희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되고 만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어머니의 희생을 숭고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회풍토가 지속되는 한 여성의 인권보장은 요원한 것이 되고 만다. 사회적으로 여성인권을 말하기 전에 가정에서 먼저 이루어 져야지 순서가 아닐까? 자동차를 수리하는 피곳부인의 행복해 하는 마지막 장의 그림을 덮으면서 그런 사회적인 능력도 없는 우리 한국의 아내들과 영국의 여성지위가 다름을 알고 쓸쓸함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