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의 힘 - 매혹적인 스토리텔링의 조건
이창용 외 지음 / 황금물고기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다다다~ 아다다다다
아이들의 옹알이 소리. 어른들은 이해할 수 없는 그들만의 언어.. 아이들은 서로 대화를 하고 있는 것이다. 모 통신회사의 TV광고다.

공지영의 소설 도가니를 원작으로 한 영화가 개봉한 이후 사회적 파장을 몰고와 인화학교의 폐교가 기정사실화되고 추악한 범죄에 가담한 교사를 처벌하자는 분위기가 압도적이며 법안에 반대하던 한나라당이 앞장서 관련 법안을 입안할 예정이라고 한다.


정조대왕 연간에 거리에서 임경업장군의 이야기를 하던 전기수가 청취남에게 살해당한 이야기,
스웨덴 공영방송 STV의 마리카에 대한 진실이란 드라마를 현실처럼 받아들였던 이야기처럼 대한민국은 도가니란 영화가 세월의 벽과 망각의 벽을 넘어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것을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셈이다.

 

이야기는 힘이 세다. 영상은 힘이 더 세다.
공지영의 소설을 읽고 나서 공분이 일었지만 그것은 개인의 공분으로 그쳤고 영화는 집단 관람을 하는 관계로 집단적인 공분을 불러일으키니 소설 이상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동물은 오늘을 산다면 인간은 과거를 되돌아보고 오늘은 물론 내일을 생각할 줄 아는 존재다. 그래서 이야기가 필요했다. 기억이란 자산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이 문자 이전 시대엔 이야기였다. 인디언 부족의 구비전승을 담은 책을 보았는데 베링해를 건너 아메리카 대륙에 정착하기까지의 여정이 이야기로 대대손손 전해져 오늘에 이른다. 구비전승의 민담, 신화, 전설 모두가 이야기이다.

 

왕이 죽고 나서 왕비도 죽었다.
왕이 죽자 슬픔에 못 이긴 왕비도 죽고 말았다.


 

같은 이야기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그 느낌이 완전히 달라진다.
페르시아의 왕 샤흐리아르 왕과 세에라자드의 천일동안 나눈 이야기가 담긴 아라비안나이트. 왕은 왕비의 불륜을 목도하고 그 자리에서 죽이고 신부를 맞아들이고 밤을 보낸 다음 날 반드시 죽였으나 세에라자드의 이야기가 너무나 재밌어 죽이지 않아 천일동안 이야기를 들었다는 것.
정조대왕 연간에 벌여진 임경업장군의 이야기를 듣던 사내가 전기수 살해한 사건, 스웨덴 공영방송 STV의 마리카에 대한 진실. 결혼식 첫날밤 사라진 신부 마리카의 이야기를 현실과 혼동한 사건 등등 이야기는 사람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행동을 이끌어낼 정도로 힘이 강하다.


인간에게 이야기가 필요한 이유
1.기억을 잡아두기 위함이다.
2.사람의 마음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오프라 윈프리
3.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충족하기 위한 다섯가지 조건
1.탄탄한 구조 - 재미있는 이야기는 구조부터 다르다.
2.등장인물의 명확한 설정 - 주인공과 적대자의 캐릭터가 명확해야 한다.
3.반전이 가져다주는 묘미-관객은 의외성, 어긋난 결과에 열광한다.
4.비극을 이용한 공감대 형성 - 관객은 희극보다 비극적 소재에 더 공감한다.
5.아이러니의 활용 - 관객은 알고 주인공은 모르는 아이러니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헤리포터, 반지의 제왕, 스타워즈, 타이타닉 등의 성공한 영화속엔 재밌는 이야기를 충족하기 위한 다섯가지 조건이 제대로 담겨 있다는 것이다.

시청자의 공분을 저절로 자아내는 악인, 선하디 선한 주인공과 수난, 시청자는 다 알고 있는데 주인공은 어이없이 당하고, 예측을 불허하는 반전과 아이러니를 통해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마치 주인공인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고 상황에 몰입하게 하는 힘이 강하는 소설이나 영화는 성공을 한다.


아오모리현의 합격사과, 애플의 사과, 커플 사과 실험, 오바마의 연설, 베트남전 참전 병사를 살린 지포라이터, 에비앙의 이야기, 구걸하는 거지 실험 등등,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내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마음을 얻고 소비자의 지갑을 열게 만드는 힘이 바로 이야기에 달렸다는 것이다.

말 한마디로 천냥빚을 갚는다. 한번 내뱉은 말은 주어담을 수 없다.


나를 표현하는 이야기는 무엇인지, 내가 몸담고 있는 조직의 스토리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스토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사람들의 마음을 얻고 고객의 지갑을 열게도 만드는 이야기의 힘, 그런 이야기를 듣는데 그치지 않고 예를 들고 있는 강력계 형사의 이야기처럼 우리도 우리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보는 것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